학술논문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Ⅰ)
이용수 34
- 영문명
- A Study for Double Pipe Type Intake Pipe in Seawater Intake Facility(Ⅰ): Experimental Modeling Test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영진(Park Youn gin) 김지호(Kim Ji ho) 임인규(Lim In gyu) 김태원(Kim Tae w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2호, 327~33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20/120831.jpg)
국문 초록
기존 중ㆍ소규모 해수취수시설의 경우 부유물질, 취수의 불안정 및 유지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해수취수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이중관 구조를 갖는 매설식 해수취수시스템이 개발 중이며, 이중관 구조의 취수관에 대한 적정 취수량을 검증하기 위해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취수관 설계인자를 검토하기 위해 펌프에 의한 강제취수와 펌프흡입이 없는 압력수두 조건에서 취수관의 길이, 유공율, 조위 변화에 따른 취수량을 검토하였다. 펌프에 의한 강제취수 실험결과 취수량은 여과사 포설 유ㆍ무및 취수관 길이에 민감하지 않았다. 또한, 이중관 구조의 취수관이 취수효율을 저하시키기 않았다. 이에 펌프 강제취수에서는 이중관길이 1m (실제 10 m)의 경우에도 충분한 유량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펌프흡입이 없는 압력수두 조건의 경우 취수량은 관길이가 짧고 유공율이 낮은 관의 경우에는 조위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취수관의 길이는 최소 1.0 m이상 (원형10 m) 설계되어야 적당한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적인 취수량 확보를 위해서는 유공율은 최소 359% 이상이 확보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mall and medium seawater intake facilities have significant problems due to suspended solids, unstable intake and main-tenance, etc. A double pipe structure and underground type seawater intake system is being developed to overcome the existing weak-nesses and an experimental mod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oper intake discharge for the double pipe type intake pipe. In order to examine the design parameter of the intake pipe, we have examined the intake discharge according to the length of intake pipe, perforated ratio and water depth change using the experimental modeling test with/without the intake pump. From the result of experiment for the forced water intake with the intake pump, the intake discharge was not sensitive to with/without filtered sand layer and length of intake pipe. The double type intake pipe did not decrease the intake efficiency. Therefore, when the length of the double pipe type intake pipe model was about 1m(prototype 10m), it was possible to take the intake discharge supply without degradation in the water intake efficiency. In the pressure head without the intake pump, the intake discharge was affected by water depth as the length of intake pipe is short and the perforated ratio is low. From the results, the length of intake pipe must be design more than min-imum of 1 m(prototype 10 m). In order to secure stable intake discharge, the perforated ratio must be established more than 359%.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매립형 해수취수시설
3. 수리모형 실험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기 기상자료의 표준화와 복합적 영향 분석을 통한 한국의 기후변화패턴에 대한 연구
- 강우와 바람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이변량 강우빈도해석기법 검토
-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을 통한 풍수해 보험지도 통합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개발 방향 연구
- 한반도 기상재해의 원인별 발생 및 피해 특성
-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의 지형학적 특성 차이 분석
-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에 대한 고찰
- 도시철도 환승시설의 안전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한 통로 폭 산정에 관한 연구
- 화산재 피해 감소를 위한 관리기준 개발 연구
- 토사재해 위험구역 결정을 위한 기준점 설정 연구(Ⅱ)
-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Ⅱ):
- 하천환경 평가를 위한 식생학적 지표 및 기준 연구
- Future Changes of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in the Byongseong Stream Watershed under Multiple Future Climate Scenarios
- 수확체감법칙을 이용한 생태저류지 용량산정
- 빗물이용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설계 방안과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토석류 충격력에 의한 유도벽 영향성 검토
-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Ⅰ)
- 우량계 강우를 활용한 레이더 강우 보정을 위한 적절 시공간 해상도 검토
- 폭발에 의한 국부손상이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전단 철근 배근에 따른 폭발저항 성능
-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누적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 지하공간 침수시 대피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가뭄특성인자를 활용한 가뭄피해추정 기법 개발 및 평가
-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유사배제형 래버린스 보의 동수역학적 특성 검토
- 폭설 위험요인의 지역 유형화를 통한 설해 저감방안 연구
- 토목섬유튜브로 보강한 철도 교대 접속부 구조의 장기안정성 평가
- 재해정보지도 표준 가시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고온에 노출된 중공슬래브의 열적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얕은기초의 저면돌출벽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강판으로 전단보강한 플랫 플레이트의 뚫림전단 성능 평가
- 풍수해 개별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위험도 가중치 산정 기법
- 지하철 하부구조물을 통과하는 가교형 받침공법의 공진 안정성 검토
- 옥상녹화의 수문학적 성능평가에 따른 최적 토양층 깊이 산정 연구
- 정형 RC 건물의 지진응답에 대한 수평ㆍ수직지반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 발생 시간차의 영향평가
- 장기간 지표유출량 추정을 위한 SMI 기법 적용가능성 타진
- FEMA P695에 의한 다이아그리드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 지진피해 건축물의 긴급 위험도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모바일 기반 지원 기술 개발
-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분석을 통한 조선왕릉 풍수과학에 관한 고찰
- 대변위 효과를 고려한 5MW급 터빈 대응 DSCT 풍력 타워의 구조적 거동 분석
- RCP 일강수량 자료의 평가 및 보정방법 제시
- 유역단위의 토사발생 모의를 위한 식생뿌리깊이의 정량화
- 2011년 용인시 토석류 피해지역에 대한 리스크 평가
- 토석류 예방을 위한 현장조사 방법의 제안
- 2,400 MPa PS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텐션 부재의 전달길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건강한 하천 유지를 위한 건천화 지표 선정 및 건천화 잠재지수(SDPI) 산정
- 다중분광정사영상과 LiDAR 자료를 이용한 제방 안전도 평가 기법 개발
- 재난관리(방재안전) 직렬 도입 및 추진 경과
- 엔진정지 주차 중 심야에 발생한 승용차화재의 분석
- 모듈화 구조에서 원사이드 볼트를 이용한 보-기둥 접합부의 성능평가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