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기상재해의 원인별 발생 및 피해 특성
이용수 340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and Damage for Meteorological Disaster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안숙희(Ahn Suk Hee) 박기준(Park Ki Jun) 김정윤(Kim Jeoung Yun) 김백조(Kim Baek J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2호, 133~14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20/120831.jpg)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상재해의 발생빈도 및 피해액을 조사하고 기상재해가 우리나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979년부터 2013년까지 소방방재청 재해연보에 기록된 690건의 기상재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피해액은 28조 원에 이르며, 평균적으로 매년 19.7건의 재해로 인해 8,039억 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빈도는 1980년대에 41.9%, 2000년대는 19.3%이지만 피해액은1980년대 11.4%, 2000년대 60.6%로 기상재해가 대형화되고 있으며, 계절별로는 집중호우와 태풍의 영향을 받는 여름철(45.5%)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재해연보에 나타난 기상재해의 발생원인은 총 31가지로 분류되며, 복합현상(5.1%) 보다는 대부분 단일현상(94.9%)에 의해 기상재해가 발생하였다. 호우는 한해도 빠짐없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태풍은 1980년대에 비해 적은 수의 영향을 받고있는 등 기상재해를 일으키는 기상현상의 발생 양상이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상재해의 발생원인은 호우가 37.8%, 태풍이8.7%이었으나, 피해액은 태풍이 45.6%, 호우가 35.4%로 두 개의 현상으로 인한 피해액이 전체의 81%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집중적인 방재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기상재해 손실률은 GDP 대비 1987년에 0.9%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태풍의 경우, 태풍 '루사(RUSA)'의 영향을 받은 2002년에 0.68%, 태풍 '매미(MAEMI)'의 영향을 받은 2003년에 0.52%로 높게 나타났고, 호우는 1987년0.45%, 1980년 0.41%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단 한번이라도 대형재해가 발생한다면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690 meteorological disasters that are recorded on the Disaster Yearbook from NEMA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rom 1979 to 2013 have been analyz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damage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disasters on the Korean economy. As a result, the total damage has so far reached the 28 trillion won, and 19.7 disasters has been occurred and brought 804 billion won damages on average. 41.9 percent of meteorological disasters have been occurred in the 1980s and 19.3 per-cent in the 2000s, but the corresponding damage cost was opposite: 11.4 percent in the 1980s and 60.6 percent in the 2000s. This result means meteorological disasters are becoming larger. 45.5 percent of the meteorological disasters have been found in summer season which is intensively affected by heavy rains and typhoons. The Disaster Yearbook from NEMA classifies the cause of meteorological disasters into 31 cases, and most of disasters are a single phenomenon (94.9%) than a complex phenomenon (5.1%).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e-orological disaster trend has been changed in that heavy rain has appeared consistently every year, and the number of typhoons has been decreased compared to the 1980s. Heavy rain took the highest portion (37.8 percent) of total disasters and followed by typhoons (8.7 per-cent), but the amount of damage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is more related to typhoons (45.6 percent) than heavy rains (35.4 percent). Both of them accounts for 81 percent of the total dam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intensive prevention measures for two phe-nomena. The highest loss, approximately 0.9% of GDP, was taken place in 1987. Categorically, typhoon RUSA brought 0.68 percent of GDP loss in 2002 and heavy rains caused 0.45 percent of GDP loss in 1987. This result means that if a high impact meteorological disas-ter occurs, the ripple effect is enormous as socioeconomic.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결과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기 기상자료의 표준화와 복합적 영향 분석을 통한 한국의 기후변화패턴에 대한 연구
- 강우와 바람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이변량 강우빈도해석기법 검토
-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을 통한 풍수해 보험지도 통합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개발 방향 연구
- 한반도 기상재해의 원인별 발생 및 피해 특성
-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의 지형학적 특성 차이 분석
-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에 대한 고찰
- 도시철도 환승시설의 안전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한 통로 폭 산정에 관한 연구
- 화산재 피해 감소를 위한 관리기준 개발 연구
- 토사재해 위험구역 결정을 위한 기준점 설정 연구(Ⅱ)
-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Ⅱ):
- 하천환경 평가를 위한 식생학적 지표 및 기준 연구
- Future Changes of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in the Byongseong Stream Watershed under Multiple Future Climate Scenarios
- 수확체감법칙을 이용한 생태저류지 용량산정
- 빗물이용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설계 방안과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토석류 충격력에 의한 유도벽 영향성 검토
-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Ⅰ)
- 우량계 강우를 활용한 레이더 강우 보정을 위한 적절 시공간 해상도 검토
- 폭발에 의한 국부손상이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전단 철근 배근에 따른 폭발저항 성능
-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누적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 지하공간 침수시 대피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가뭄특성인자를 활용한 가뭄피해추정 기법 개발 및 평가
-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유사배제형 래버린스 보의 동수역학적 특성 검토
- 폭설 위험요인의 지역 유형화를 통한 설해 저감방안 연구
- 토목섬유튜브로 보강한 철도 교대 접속부 구조의 장기안정성 평가
- 재해정보지도 표준 가시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고온에 노출된 중공슬래브의 열적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얕은기초의 저면돌출벽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강판으로 전단보강한 플랫 플레이트의 뚫림전단 성능 평가
- 풍수해 개별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위험도 가중치 산정 기법
- 지하철 하부구조물을 통과하는 가교형 받침공법의 공진 안정성 검토
- 옥상녹화의 수문학적 성능평가에 따른 최적 토양층 깊이 산정 연구
- 정형 RC 건물의 지진응답에 대한 수평ㆍ수직지반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 발생 시간차의 영향평가
- 장기간 지표유출량 추정을 위한 SMI 기법 적용가능성 타진
- FEMA P695에 의한 다이아그리드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 지진피해 건축물의 긴급 위험도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모바일 기반 지원 기술 개발
-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분석을 통한 조선왕릉 풍수과학에 관한 고찰
- 대변위 효과를 고려한 5MW급 터빈 대응 DSCT 풍력 타워의 구조적 거동 분석
- RCP 일강수량 자료의 평가 및 보정방법 제시
- 유역단위의 토사발생 모의를 위한 식생뿌리깊이의 정량화
- 2011년 용인시 토석류 피해지역에 대한 리스크 평가
- 토석류 예방을 위한 현장조사 방법의 제안
- 2,400 MPa PS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텐션 부재의 전달길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건강한 하천 유지를 위한 건천화 지표 선정 및 건천화 잠재지수(SDPI) 산정
- 다중분광정사영상과 LiDAR 자료를 이용한 제방 안전도 평가 기법 개발
- 재난관리(방재안전) 직렬 도입 및 추진 경과
- 엔진정지 주차 중 심야에 발생한 승용차화재의 분석
- 모듈화 구조에서 원사이드 볼트를 이용한 보-기둥 접합부의 성능평가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