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누적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이용수 103
- 영문명
- Assessment of Meteorological Drought Using Cumulative Severity of Dail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권민성(Kwon Min sung) 전경수(Jun Kyung Soo) 황만하(Hwang Man Ha) 김태웅(Kim Tae Wo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2호, 123~13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20/120831.jpg)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대한 단계적인 대비 및 대응과 가뭄상황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표준강수지수의 심도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뭄지수(SPI-S와 SPIB-S)를 제안하였다. 또한, 2000년대 발생한 대표적 가뭄사상과 언론에 보도된 가뭄피해 사례를 통해 제안된방법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SPI-S와 SPIB-S는 가뭄기간동안 단계적으로 가뭄등급이 높아져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지수로 SPI보다활용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SPI 및 SPI1-S~12-S와 비교하여 가뭄피해 언론보도 시점에서 SPIB-S는 'Normal(가뭄이 아닌 상태)' 상태를 나타내는 비율이 평균 51.2%에서 16.0%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SPI 심도를 활용한 가뭄지수는 단계적인 가뭄 대비와 대응을 통해 가뭄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가능성이 높으며, 가뭄기간동안 가뭄단계의 변동으로 초래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proposed new drought indices (SPI-S and SPIB-S) though utilizing the severity of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f stepwise drought preparedness/response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availability of the SPI-S and SPIB-S using drought records of the 2000s and their drought damages reported in the pr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PI-S and SPIB-S were more efficient than the SPI as the severity of SPI-S and SPIB-S increases while a drought event progresses. Compared with the SPI and SPI1-S~12-S, at the time when the drought damage was reported in the press, the SPIB-S markedly decrease the ratio to indicate 'Normal' from 51.2% to 16.0%. Drought indices using severity of SPI are very useful not only for mit-igating drought damage through stepwise drought preparedness/response but also for preventing confusion caused by change of drought intensity during drought duration.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분석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기 기상자료의 표준화와 복합적 영향 분석을 통한 한국의 기후변화패턴에 대한 연구
- 강우와 바람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이변량 강우빈도해석기법 검토
-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을 통한 풍수해 보험지도 통합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개발 방향 연구
- 한반도 기상재해의 원인별 발생 및 피해 특성
-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의 지형학적 특성 차이 분석
-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에 대한 고찰
- 도시철도 환승시설의 안전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한 통로 폭 산정에 관한 연구
- 화산재 피해 감소를 위한 관리기준 개발 연구
- 토사재해 위험구역 결정을 위한 기준점 설정 연구(Ⅱ)
-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Ⅱ):
- 하천환경 평가를 위한 식생학적 지표 및 기준 연구
- Future Changes of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in the Byongseong Stream Watershed under Multiple Future Climate Scenarios
- 수확체감법칙을 이용한 생태저류지 용량산정
- 빗물이용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설계 방안과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토석류 충격력에 의한 유도벽 영향성 검토
-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Ⅰ)
- 우량계 강우를 활용한 레이더 강우 보정을 위한 적절 시공간 해상도 검토
- 폭발에 의한 국부손상이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전단 철근 배근에 따른 폭발저항 성능
-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누적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 지하공간 침수시 대피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가뭄특성인자를 활용한 가뭄피해추정 기법 개발 및 평가
-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유사배제형 래버린스 보의 동수역학적 특성 검토
- 폭설 위험요인의 지역 유형화를 통한 설해 저감방안 연구
- 토목섬유튜브로 보강한 철도 교대 접속부 구조의 장기안정성 평가
- 재해정보지도 표준 가시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고온에 노출된 중공슬래브의 열적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얕은기초의 저면돌출벽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강판으로 전단보강한 플랫 플레이트의 뚫림전단 성능 평가
- 풍수해 개별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위험도 가중치 산정 기법
- 지하철 하부구조물을 통과하는 가교형 받침공법의 공진 안정성 검토
- 옥상녹화의 수문학적 성능평가에 따른 최적 토양층 깊이 산정 연구
- 정형 RC 건물의 지진응답에 대한 수평ㆍ수직지반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 발생 시간차의 영향평가
- 장기간 지표유출량 추정을 위한 SMI 기법 적용가능성 타진
- FEMA P695에 의한 다이아그리드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 지진피해 건축물의 긴급 위험도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모바일 기반 지원 기술 개발
-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분석을 통한 조선왕릉 풍수과학에 관한 고찰
- 대변위 효과를 고려한 5MW급 터빈 대응 DSCT 풍력 타워의 구조적 거동 분석
- RCP 일강수량 자료의 평가 및 보정방법 제시
- 유역단위의 토사발생 모의를 위한 식생뿌리깊이의 정량화
- 2011년 용인시 토석류 피해지역에 대한 리스크 평가
- 토석류 예방을 위한 현장조사 방법의 제안
- 2,400 MPa PS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텐션 부재의 전달길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건강한 하천 유지를 위한 건천화 지표 선정 및 건천화 잠재지수(SDPI) 산정
- 다중분광정사영상과 LiDAR 자료를 이용한 제방 안전도 평가 기법 개발
- 재난관리(방재안전) 직렬 도입 및 추진 경과
- 엔진정지 주차 중 심야에 발생한 승용차화재의 분석
- 모듈화 구조에서 원사이드 볼트를 이용한 보-기둥 접합부의 성능평가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