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얕은기초의 저면돌출벽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Study on the Effect of Base Projecting Walls of Shallow Footing on Bearing Capacit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승현(Lee Seung hyun) 김병일(Kim Byoun gil) 임종석(Lim Jong seo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2호, 145~14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20/120831.jpg)
국문 초록
연약지반상 얕은기초의 저면돌출벽이 기초의 지지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돌출벽의 개수와 길이를 달리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해석결과를 모형시험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연약지반상 얕은기초에 저면돌출벽을 두는 경우 지지력 증대효과가 있음을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모형시험 및 수치해석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저면돌출벽의 개수에 대하여 돌출벽의 길이가 클수록 지지력 또한 증가하였다. 모형시험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길이의 저면돌출벽에 대하여 대체로 돌출벽의 개수가 4개 정도까지는 지지력이 증가하다 5개가 되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수치해석결과에 따르면 지지력에 미치는 돌출벽 개수의 영향이 미미하였다. 모형시험 및 수치해석결과에 따르면 저면돌출벽의 간격에 대한 길이의 비(h/b)가 1 정도일 경우 경제적 설계가 가능할 것으 로판단되며 약 25% 정도의 지지력 증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base projecting walls of footing supporting soft ground on increase of bearing capacity, nume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varying the number and length of the base projecting walls and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analys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model tests.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and the model tests that the bear-ing capacity of the footing supporting soft ground increases due to the existence of the base projecting walls and the bearing capacity increases with increase of the length of the base projecting wal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odel tests, it can be seen that bear-ing capacity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the base projecting walls of 2 to 4 and it decreases when the number of the base projecting walls of 5 whereas results of the numerical analyses show that bearing capacity was little affected by the number of the base pro-jecting walls. It can be said from the results of the model tests and the numerical analyses that economical design of the footing with base projecting walls be accomplished for the value of unity of the ratio of the length to the spacing of the base projecting wall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모형시험 개요
3. 수치해석
4. 해석결과와 시험결과의 비교분석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기 기상자료의 표준화와 복합적 영향 분석을 통한 한국의 기후변화패턴에 대한 연구
- 강우와 바람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이변량 강우빈도해석기법 검토
-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을 통한 풍수해 보험지도 통합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개발 방향 연구
- 한반도 기상재해의 원인별 발생 및 피해 특성
-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지점에서의 지형학적 특성 차이 분석
-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직무스트레스, 우울증에 대한 고찰
- 도시철도 환승시설의 안전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한 통로 폭 산정에 관한 연구
- 화산재 피해 감소를 위한 관리기준 개발 연구
- 토사재해 위험구역 결정을 위한 기준점 설정 연구(Ⅱ)
-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Ⅱ):
- 하천환경 평가를 위한 식생학적 지표 및 기준 연구
- Future Changes of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in the Byongseong Stream Watershed under Multiple Future Climate Scenarios
- 수확체감법칙을 이용한 생태저류지 용량산정
- 빗물이용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설계 방안과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토석류 충격력에 의한 유도벽 영향성 검토
- 해수취수시설에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취수관 연구(Ⅰ)
- 우량계 강우를 활용한 레이더 강우 보정을 위한 적절 시공간 해상도 검토
- 폭발에 의한 국부손상이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전단 철근 배근에 따른 폭발저항 성능
-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누적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 지하공간 침수시 대피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가뭄특성인자를 활용한 가뭄피해추정 기법 개발 및 평가
-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유사배제형 래버린스 보의 동수역학적 특성 검토
- 폭설 위험요인의 지역 유형화를 통한 설해 저감방안 연구
- 토목섬유튜브로 보강한 철도 교대 접속부 구조의 장기안정성 평가
- 재해정보지도 표준 가시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고온에 노출된 중공슬래브의 열적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얕은기초의 저면돌출벽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강판으로 전단보강한 플랫 플레이트의 뚫림전단 성능 평가
- 풍수해 개별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위험도 가중치 산정 기법
- 지하철 하부구조물을 통과하는 가교형 받침공법의 공진 안정성 검토
- 옥상녹화의 수문학적 성능평가에 따른 최적 토양층 깊이 산정 연구
- 정형 RC 건물의 지진응답에 대한 수평ㆍ수직지반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 발생 시간차의 영향평가
- 장기간 지표유출량 추정을 위한 SMI 기법 적용가능성 타진
- FEMA P695에 의한 다이아그리드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 지진피해 건축물의 긴급 위험도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모바일 기반 지원 기술 개발
-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분석을 통한 조선왕릉 풍수과학에 관한 고찰
- 대변위 효과를 고려한 5MW급 터빈 대응 DSCT 풍력 타워의 구조적 거동 분석
- RCP 일강수량 자료의 평가 및 보정방법 제시
- 유역단위의 토사발생 모의를 위한 식생뿌리깊이의 정량화
- 2011년 용인시 토석류 피해지역에 대한 리스크 평가
- 토석류 예방을 위한 현장조사 방법의 제안
- 2,400 MPa PS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텐션 부재의 전달길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건강한 하천 유지를 위한 건천화 지표 선정 및 건천화 잠재지수(SDPI) 산정
- 다중분광정사영상과 LiDAR 자료를 이용한 제방 안전도 평가 기법 개발
- 재난관리(방재안전) 직렬 도입 및 추진 경과
- 엔진정지 주차 중 심야에 발생한 승용차화재의 분석
- 모듈화 구조에서 원사이드 볼트를 이용한 보-기둥 접합부의 성능평가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