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修禪社4세 眞明國師混元의 家系와 왕사 책봉

이용수 92

영문명
The family line of Jinmyeongguksa( ) Honwon(混元), the 4th chief priest of Suseonsa(修禪社) and appointment as king's teacher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박윤진(PARK YUN JIN)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2輯, 94~125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선사 4세 사주인 眞明國師 混元의 부계는 태조대의 개국공신으로 시작해서 현종대에 재상을 배출했으며 과거합격자도 다수 있었다. 그후손들도 封君되는 등 고위 관료로 활약하였다. 한편 혼원의 외할아버지인 金閱甫는 음서로 관직에 나아갔으며, 당시 유명 문인들과 교류하고 있었다. 또한 혼원의 외증조부인 金端은 중국에서 과거에 합격한계기로 가문을 성장시키고 대표적인 문벌가문인 定安任氏ㆍ坡平尹氏등과 자신의 자녀들을 혼인시키고 있다. 이상을 통해 보면 혼원의 가문은 문벌귀족에 상당할 정도였다. 수선사나 백련사의 초기 주도층이향리나 하급관리의 자제들이었다는 것과는 약간 차이가 있는데, 이는 수선사의 위상이 강화되면서 문벌가문에서도 출가하게 되면서 나타난양상으로 이해된다. 혼원은 자신의 외삼촌이자 사굴산문 소속인 宗軒에게 출가하였으며 이후 雙峯寺의 辯靑牛와 惠諶ㆍ夢如를 스승으로 섬겼다. 수선사ㆍ선원사 뿐만 아니라 수선사의 주요 사원인 雙峯寺, 定慧社 등에 주석하였으며 왕사로 책봉받으면서 慈雲寺를 본사, 臥龍寺를 하산소로 지정받았다. 혼원의 제자들은 '慈雲宗派'라 불릴 정도로 번성하였던 듯한 데, 구체적으로는 수선사의 사주가 되는 天英ㆍ冲止와 왕자 승려인 鏡智 등이 제자였다. 혼원의 사승 관계에서도 수선사의 중요 인물들과 밀접한 관계였음이 확인된다. 한편 혼원은 고종 46년에 왕사로 책봉되는데, 고종이 왕사 임명 직후 사망했기 때문에 원종으로부터 재책봉된 후 하산하였다. 그런데 혼원이 최씨정권과 고종 말년에 승려로서 최고의 僧階와 다수의 僧職,나아가 왕사로 임명된 것에 비해 하산 이후는 중앙 정계와 별다른 관련없이 지냈다. 그 이유는 원종 초년의 정치적 변화와 큰 관련이 있다. 최씨정권기에는 대몽항쟁의 구심점으로 혼원과 수선사가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면, 최씨정권이 붕괴되고 고종이 사망하게 되면서 혼원과 중앙정계는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또 고종 말년에 왕정 복고를 주도했던 유경이 왕권 회복의 상징으로 왕사 책봉을 주도한 듯한데, 그도 원종 초에 김준 세력에 의해 권력을 빼앗기면서 혼원을 지지해줄수 있는 정치세력이 거의 소멸하였다. 이는 원종 2년에 江都 禪月社에서 一然이 開堂하게 된 것과 대조되는 것으로 원종 이후 수선사는 일시적으로 세력이 약해지고 새롭게 가지산문이 중앙 정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aternal line of Jinmyeongguksa( ) Honwon(混元), the 4th chief priest of Suseonsa(修禪社) began from a meritorious retainer at the founding of a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King Taejo, produce a prime minister during the period of King Hyeonjong, and included many successful applicants of state examinations. Some of the descendants also acted as high-ranked government officials and some were appointed as guns(封君). Meanwhile, Honwon's maternal grandfather Kim Yeol-Po(金閱甫) was appointed as a government official without any examination and was exchanging with famous literary persons at that time. Honwon's maternal great-grandfather Kim Dan(金端) grew his family after passing a state examination in China and had his children get married to representative distinguished families at that time such as Jeingan Ilm family(定安任氏) and Papyeong Yun family(坡平尹氏). Given these information, Honwon's family was comparable to distinguished families at that time. This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the initial leading classes of Suseonsa and Baekryeonsa were sons of local officials or low grade officials. This difference is understood as being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as the status of Suseonsa was enhanced, sons of distinguished families became Buddhist monks of Suseonsa. Meanwhile, Honwon was appointed as a king's teacher in the 46th year of King Gojong( ) and reappointed by King Wonjong(元宗) before he came down from the mountain because King Gojong died immediately after the appointment of him as a king's teacher. By the way, although Honwon was appointed to the highest monk's rank and many monk's positions, and even to the king's teacher, he did not have any particular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political world. The reason i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changes in the early years of King Wonjong. Whereas Honwon and Suseonsa were specially treated as a pivot of the anti-Mongol struggle during the period of the Choi family's government, Honwon could not but grow away from the central political world when the Choi family's government collapsed and King Gojong died. Yu Gyeong(柳璥) who led the recovery of the monarchy at the end of the period of King Gojong seems to have led the appointment of Honwon as a king's teacher. Yu Gyeong lost power by the power of Kim Jun in the early years of King Wonjong and this meant that political power that could support Honwon almost became extinct. This is in contrast with the appointment of Ilyeon(一然) as the chief priest of Seonwolsa (禪月社) in Gangdo(江都) in the second year of King Wonjong. Since the period of King Wonjong, Suseonsa lost some power temporarily and Gajisanmum(迦智山門) became to newly act actively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혼원의 가계
3. 혼원의 사승 관계와 관련 사원
4. 혼원의 왕사 책봉과 불교계의 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윤진(PARK YUN JIN). (2014).修禪社4세 眞明國師混元의 家系와 왕사 책봉. 보조사상, 42 , 94-125

MLA

박윤진(PARK YUN JIN). "修禪社4세 眞明國師混元의 家系와 왕사 책봉." 보조사상, 42.(2014): 94-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