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혜심의 공안선 이해와 『선문염송집』

이용수 135

영문명
Hyesim' understanding of Gonganseon( ) and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조명제(CHO MYUNG JE)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2輯, 60~91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종래 혜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그의 어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뿐, 그가 편찬한 『禪門拈頌集』(이하 『염송집』)과 관련된 문제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염송집』은 혜심이 중심이 되어 수선사에서 편찬한 공안집이기 때문에 수선사가 공안선을 어떻게 수용하고 이해하였는가를 알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이다. 『염송집』은송대의 공안집인 『통요』, 『송고연주』, 『연등회요』 등을 기본적인 저본으로 활용하였으며, 『경덕전등록』을 비롯한 전등사서도 참조하여 편찬되었다. 또한 『염송집』에 수록된 방대한 착어는 운문종, 조동종, 임제종의 어록을 폭넓게 수집하여 배열한 것이다. 『염송집』에 수록된 착어의 내용은 모두 문자선과 관련된 내용이며, 그것을 통해 『염송집』은 문자선의 집성이라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성격은 『염송집』에 북송의 문자선을 집대성하면서, 그것을 간화선으로 전환하는 단초를 연 문헌인 『벽암록』이 전혀 수록되지 않은 것에서 잘 드러난다. 또한 『염송집』에는 대혜의 착어가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지만, 모두 간화선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염송집』의 본칙 12칙에 나누어 길게 인용되어 있는 대혜의 秦國太夫人請普說은 無字화두를 강조하는 내용이 중심이지만 혜심은 간화선과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단 하나도 언급하지 않고, 단지 『염송집』의 공안에 대한 착어로서 인용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염송집』의 내용과 성격이 문자선의 이해에 있으므로 혜심이 수용하고 이해한 공안선에서 아직까지 간화선이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혜심은 대혜와 같이『無字』화두를 특별히 강조하지 않으며, 심지어 無心, 無事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혜심은 간화선을 수용하면서도 여전히 문자선의 이해 단계에 머무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혜심의 공안선 이해 수준은 수선사 전체 차원에서 이루어진 공안집인 『禪門三家拈頌集』의 편찬, 공안 주석서인 『禪門拈頌說話』저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헌이 13세기말까지 지속적으로 저술, 편찬된 것은 여전히 간화선보다 문자선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주된 흐름이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나아가 이러한 흐름은 수선사만이 아니라 13세기 후반의 선종을 주도한 일연의 가지산문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영문 초록

『Seonmunyeomsongjip』 is a Buddhist scripture compiled by Suseonsa( ) and shows the originality of Korean Seon Buddhism. It also is a basic text that tells us how Suseonsa understood the Seon Buddhism of the Sung Dynasty and how it accepted the Seon of Discourse. This study was a basic literature study of 『Seonmunyeomsongjip』 focused on comparing it to Seon text in Sung Dynasty. 『Seonmunyeomsongjip』 included the scriptures of Buddha, India, and China. It particularly organizes the footnotes of old scriptures from the Tang Dynasty to the North Sung Dynasty. Among the footnotes of 『Seonmunyeomsongjip』, interpretation was almost completely quoted from 『Seonjongsongoyeonjujip』. Unmun sect(雲門宗) led meditation school in the period of North Song and created a new flow of Seon called A work on zen talks. 『SeonmunYeomsongjip』 collectively shows aspects of accepting Seon of such Unmun Sect in Goryeo.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arranging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for seon meditation listed on 『SeonmunYeomsongjip』 on a whole scale, these could be known as below. Because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of Unmun Sect listed on 『SeonmunYeomsongjip』 edited by Suseonsa is basically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of A work on seon talks, it is far from essential character of Unmun Sect before A work on seon talks. Unlike previous studies, seon of Hyesim is deeply related to understanding of Gongan reviews. In other words, it is inappropriate to evaluate acceptance of seon meditation with given topic too highly. Therefore th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Gonganseon in hyesim, ganhwaseon( ) still does not account for the central location. Hyesim is like Daehye' muja whadu(無字 話頭) for special emphasis, even mindless(無心), no-business(無事) was also emphasized. Thus, Hyesim is accommodating ganhwaseon, still the stages of the A work on seon talks(文字禪) seemed to understand.

목차

국문요약
머리말
Ⅰ. 『선문염송집』의 구성과 편찬 방향
Ⅱ. 『선문염송집』을 통해 본 혜심의 공안선 이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명제(CHO MYUNG JE). (2014).혜심의 공안선 이해와 『선문염송집』. 보조사상, 42 , 60-91

MLA

조명제(CHO MYUNG JE). "혜심의 공안선 이해와 『선문염송집』." 보조사상, 42.(2014): 60-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