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 기반 재난 전조감지 모델
이용수 397
- 영문명
- The Model for Sensing of Disaster Signs Based on Big Dat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선화 Choi, Seon Hwa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2호, 149~15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소셜미디어는 사회적 소통과 자료공유를 위해 언제어디서나 사용되는 중요한 통신매체가 되고 있다. 특히, 재난분야에서 소셜미디어는 다른 방법으로 얻기 힘든 집단지성과 정제된 종합정보를 광역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비공식 통신채널이다. 아이티와 동일본 대지진 당시, 소셜미디어는 피해를 파악하고 경고 및 정보를 교환하는 채널로 적극 활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빅데이터 마스터 플랜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개발된 파일럿 모델을 소개하고 재난관리에 실제 적용하기 위한 방안 및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관련기술 개발 현황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 모델은 최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도시 내수침수 전조를 조기에 감지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신속한 경보를 위해 강우정보와 침수예상도 등 정형데이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및 뉴스 등 비정형데이터를 연계하여 도시 내수침수 전조를 감지할 수 있는 모델이다. 2011년 발생한 두 개 분구의 침수사례를 통해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향후 국지적 폭우, 지역적 특수상황 등에 기인하는 예측되지 못한 침수 전조를 감지하고 예측된 침수 위험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예 경보체계로 활용 가능할 것이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social media has become ubiquitous and important for social networking and content sharing. Especially, in the disaster area, social media supports backchannel communications, allowing for wide-scale interaction that can be collectively resourceful, self-policing, and generative of information that is otherwise hard to obtain. At the time of great Japan and Haiti earthquake, social media channels actively were utilizing to grasp the damage, to warn, and to exchange information.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model for sensing the signs of inundation and detecting inundation risk areas by analyzing big data related to disasters. This model is comprised of three steps: a sign sensing step through monitoring and analyzing unstructured data such as social media, a risk detecting step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structured data such as precipitation, inundation hazard maps, and so forth, and a disaster status dissemination step to disaster related organizations, local governments, and the public. By applying our model to Gangnam inundation damage, 2011, in Korea, we substantiated that there is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on our model.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체의 기계적, 열적 및 난연특성
- 재난 발생 시 이송 및 병원 자원 제약을 고려한 이송환자 우선순위 결정 연구
- 시공성을 고려한 H형강 기둥의 신형상 약축접합부 내진성능평가
- Fluent 모형을 이용한 대심도 배수터널 유입부의 통수능력 분석
- 선진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사례검토
- 확장 해밀턴 이론에 근거한 선형 탄성 시스템의 이차의 시간 유한 요소해석법
- 기초지반고가 상이한 지반-구조물-구조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지진응답 해석연구
- 수정 간접 평가 방법 개발을 활용한 상수도 관망 노후도 예측모델 연구
- 단일벽 및 이중벽 모형앵커를 이용한 석션케이슨 앵커의 거동분석
- 산불 소화시설에 바람이 미치는 효과 연구
- 가압기 맨웨이 볼트의 누설률 평가에 관한 연구
- 반복적 소방활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 산업현장 폭발사고 주요원인 분석 및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 상·하류 관측수위 기반 도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기준 강우량 산정기법
- LID 적용면적별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 성능적인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초기화재시의 화재성장률 예측에 관한 연구
- 국내 수문학적 활용성 평가를 위한 다중위성 강수자료의 검증
- 구조물 기둥 내진 보강 성능 평가
- 사연댐 수위조절 시 반구대암각화의 수리학적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 연직진동말뚝의 계측자료 분석
- PSR 구조를 이용한 호소 환경위험지수 산정
-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강우유출수 처리비 산정식 개선 -WQF 기준 시설-
- SWMM을 이용한 수영강 유역의 비점오염원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의 최적설계에 대한 해석 연구
-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유발 강우기준 연구
- 철골중간모멘트골조의 붕괴성능 II
- 빗물펌프장 조기가동에 따른 도시 내수침수 저감효과 분석
- 철골중간모멘트골조의 붕괴성능 I
- 빗물이용시설 신뢰도 평가모형의 국내 적용을 위한 매개변수 산정: 부산광역시에의 적용
- 제설제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의 염화물 침투 예측기법
- 지진시 산사태 발생 예측 및 산지 내 문화재 영향 분석
- 고속도로 주행 중 발생한 트럭화재의 분석
- 내화뿜칠피복재의 내구성 촉진평가방법 표준화 연구
- 홍수방어시설용량-피해 매트릭스를 이용한 서울시 행정구역별 고유홍수취약성 평가
- 혼합형 마찰댐퍼 구성요소의 성능평가 I: 1절점 회전형 마찰요소
- 울산광역시의 설해위험지수 산정
- 화재시 비차열 유리의 허용면적비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 기반 재난 전조감지 모델
- 수직하중을 받는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거동 평가
- 식생영향을 고려한 연 증발산량 산정모형 개발 및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