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保寧 聖住寺址의 伽藍變遷 硏究

이용수 194

영문명
A Study of Changes of Sangharama of Seongjusa Temple Site in Boryung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임종태(Lim Jong Tae)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2輯, 99~13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충남 보령시 성주면에 위치한 성주사지 가람기(伽藍期)의 단계적인 변천과정(變遷過程)을 재검토하여 각 가람기의 조영시점과 폐사 원인, 그리고 각 시기별 가람의 고고학적 특성 등을 연구한 것으로 그 동안 정체되어 온 성주사지 연구를 다시금 주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작성하였다. 성주사지는 통일신라하대 선종(禪宗) 구산문(九山門) 중 하나인 성주산문(聖住山門)의 총 본산으로 낭혜화상(郎慧和尙) 무염(無染)이 주석하면서 창건되었던 절터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주사지는 약 1000여 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존속하면서 전성기에는 최대 약 1000여 칸에 이르는 건물들이 사역 내에 존재했다고 전하며, 여기에 2000여 명의 승려가 거주하며 수도하던 당대 최고의 절로 손꼽히던 곳이다 이러한 성주사지는 총 12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실시되었고, 현재까지도 진행 중에 있다. 그중 가람 중심부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서 이와 관련된 대략적인 가람배치 현황 등이 발표되었는데, 이를 요약하면 총 5차례에 걸쳐 가람이 변화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실시된 사역 전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로 본다면 성주사지 가람은 총 3단계에 걸쳐 변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먼저Ⅰ기는 성주사 창건 이전의 선대가람(先代伽藍) 창건기(創建期)로 7C중·후반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창건 주체는 김인문(金仁問) 일가(一家)일가능성 높으며, 822년에 발생한김헌창(金憲昌)의 난(亂)에 연루(連累)되어 소실(燒失)된것으로 추정된다.Ⅱ기는 성주사(聖住寺) 창건기 가람(伽藍)에해당되며, 대중(大中, 847~859) 초에 낭혜화상(郎慧和尙) 무염(無染)이 주석하면서 창건된것이다. 이러한 성주사 창건기 가람은 13C경에 한 차례 소실된 것으로 보이는데, 소실 원인은 13C 초 발생한 몽고의 침입에 의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있다. Ⅲ기는 성주사 중건기(重建期) 가람으로 13C 중·후반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보령지역 일대 재지세력(在地勢力)들의 경제적 기반 아래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러한 성주사는 결국 1592년에 발생한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점차 쇠퇴(衰退)하여 17C 초반에 이르러 완전히 폐사(廢寺)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examined the gradual changes of sangharama of Seongjusa temple site in Seongju-myeon, Boryeong-si, Chungcheongnam-do and researched the construction time, reason of disposal and archaeological character of sangharama of each period, which was intended to spotlight the study of Seongjusa temple site again which was stagnant so far. The Seongjusa temple state is head temple of Seongju toran which is one of the nine torans of Zen sect in the latter part of unified Silla dynasty and it is constructed by staying of Nanghye Hwasang Moo-yum(郎慧和尙 無染). This Seongjusa temple state stayed for about 1000 years and it is told that about 1000 rooms were in the temple state at most. 2000 monks lived and practiced in the Seongjusa temple state and it was one of the best temples of the time. This Seongju temple state was researched for 12 times and it is being progressed since now. As the research of center of sangharama is completed, the approximate arrangement status of sangharama is announced, which can be summarized in 5 changes of sanaharama. However, from the results of excavation for whole regions of the temple state so far, the Seongjusa state sangharama can be known to be changed for three phases. Summarizing it, the phase is construction period of foregoing sangharama, which is estimated to be established by In Moon Kim family in the late 7C and destroyed with rebellion of Hun Chang Kim. The phase is sangharama in the construction period of Sungju temple, which was constructed by staying of Nanghye Hwasang Moo-yum(郎慧和尙 無染) in the early Daejung(A.D. 847~859), and it seems to be damaged once between the later half of 13C, and the reason of damage is estimated to be the invasion of Mongolia. The phase is sangharama of reconstruction of Sungju temple which is estimated to be constructed under the economic base of strong forces in the whole Boryung region in the late 13C. But this Seongju temple seems to have declined b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be destroyed perfectly in early 17C.

목차

Ⅰ. 머리말
Ⅱ. 聖住寺址의 考古資料 現況
Ⅲ. 聖住寺址 伽藍의 段階 設定
Ⅳ. 各 伽藍期의 造成과 考古學的 特性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종태(Lim Jong Tae). (2014).保寧 聖住寺址의 伽藍變遷 硏究. 선사와 고대, 42 , 99-130

MLA

임종태(Lim Jong Tae). "保寧 聖住寺址의 伽藍變遷 硏究." 선사와 고대, 42.(2014): 99-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