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위만의 출신 종족에 대한 再考

이용수 249

영문명
The reconsideration of Wi-Man's ancestry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김남중(Kim Nam Ju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2輯, 5~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위만조선을세운 위만의 출신 종족이 어떠한지를 다루었다. 위만의출신 종족에 대해서는 크게 중국계라는 견해와 고조선계라는 견해가 있는데,“朝鮮王滿者故燕人也”라는 사기(史記) 조선열전(朝鮮列傳)의 기록으로 인해 많은 학자들이 위만을 중국계로 인식하였다. 반면 위만을 고조선계로 보는 견해에서 제기된 주장들은 논리적인 문제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사기 열전의 인물 소개 방식을 분석해 본 결과 조선열전의 기록은 위만의 출신 종족이 아닌 망명 전 위만의 거주지를 나타내는 것일 뿐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이 기록으로 위만의 구체적인 출신 종족을 논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위만은 퇴결만이복(魋結蠻夷服) 차림을 하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였으며, 조선이라는 국호와 왕검[왕험]이라는 도읍명을 사용하였다. 퇴결만이복 차림을 하였다는 점은 최소한 위만이 한(漢)과의 구별을 추구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후국명(侯國名) 등 위만이 사용할 수 있는 국명이 여럿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멸망시킨 조선의 이름을 계승하였다는 점과 고조선의 시조로 알려진 단군왕검과 관련된 명칭을 도읍명으로 삼았다는 점, 위만관련 기록에서 기자(箕子)와 관련된 내용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위만은 중국인으로 보기 어렵고 고조선계로 보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위만은 연국왕(燕國王) 노관(盧綰)이 흉노로 망명할 당시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는 점에서 노관과 관련 있을 것으로 언급되어 왔다. 그런데 당시 한 중앙 정부나 북방에 위치한 제후왕국에 만이(蠻夷) 출신이 등용되어 활동하거나 호인(胡人)들로 구성된 기병부대가 확인된다. 특히, 한고조(高祖) 유방(劉邦)이항우(項羽)와 천하를 놓고 다투던 시기에 북맥(北貉) 연(燕) 효기(梟騎) 부대가 한을 돕기 위해 출동한 기록이 보이는데, 고조선을 예맥으로 지칭한 사례도 있다는 점에서 고조선인들도 노관 정부에서 활동하였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노관과의 관련성 문제는 위만을 중국계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Viewing through the style of character introduce in Biographies(列傳) Shiji(史記), the passage, “Man(滿), the king of Chosun, was Yan(燕) man by nature.” in Traditions of the Chosun(朝鮮列傳) Shiji, meant not that Wi-Man was chinese but Wi-Man was from Yan area, a part of china. There were lived Old-Chosun and many other people as well as chinese at that time. Meanwhile, the fact that Wi-Man had used Chosun his Country name and Wanggum(王儉) his Capital name, shows that he was Old-Chosun ancestry. The word‘Wanggum’ had stemed from Dangun-Wanggum(檀君王儉), the progenitor of Old-Chosun. The fact that Wi-Man had fled Old-Chosun when Lu-Wan(盧綰) had exiled to Xiongnu (匈奴), shows that Wiman was related to Lu-Wan, but their relationship does not show what is ancestry of Wi-Man because that many foreigners had been active in Han(漢) dynasty and several principalities of Han. When Han dynasty established, North-Maek(北貉)&Yan cavalry helped Liu-Bang(劉邦), Han Gaozu(高祖). This shows that the Maek people, who related to Old-Chosun, had been lived in Yan.

목차

Ⅰ. 머리말
Ⅱ. 朝鮮王滿者 故燕人也의 의미
Ⅲ. 행적으로 본 위만의 출신 종족
Ⅳ. 盧綰과의 관계로 본 위만의 출신 문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중(Kim Nam Jung). (2014).위만의 출신 종족에 대한 再考. 선사와 고대, 42 , 5-29

MLA

김남중(Kim Nam Jung). "위만의 출신 종족에 대한 再考." 선사와 고대, 42.(2014): 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