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듀이의 철학적 어린이 이해와 '아동중심'의 교육적 의미

이용수 1611

영문명
Reconsidering Dewey'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hild-Centerednes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이태영(Yi Tae Young) 양은주(Yang Eun Joo)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9권 제1호, 107~13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실천행위와 제반 정책 이면에 가로놓인 아동관을 문제로 의식하며, 듀이의 철학적 어린이 이해와 '아동중심'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먼저 아동중심 교육이념의 계보에서 루소와 같은 개인주의적 낭만적 근대사상가와 달리, 듀이는 인간의 교육적 성장을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어른다움에로 자라나기와 어린이다움에로 낮아지기를 동반하는 쌍방향적 과정으로 보는 점에서 차별화됨을 밝힌다. 이어서 어린이라는 존재의 의미에 관한 듀이의 교육철학적 텍스트를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어린이들에게 풍부한 의뢰심, 유연성, 놀이성향, 호기심어린 흥미를 교육적으로 중요한 '어린이다움'의 가치 특성으로 구분한다. 이 각각에 대해 듀이가 재조명하는 교육적 의미를 풀어 본 결과, 의뢰심은 사회ㆍ도덕적 관계능력으로, 유연성은 신체ㆍ활동적 조절력으로, 놀이성향은 창조ㆍ예술적 상상력으로, 호기심어린 흥미는 탐구ㆍ과학적 사고력으로 성장할 동력이요, 평생에 걸쳐 어린이들과의 교감을 통해 갱신해가야 할 '인간다움'의 근원적 샘임을 밝힌다. 결론으로, 우리의 초등학교 현실에서 교사가 진정으로 아동을 중심에 두고 어린이다움을 일깨우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요청되는 자질을 신뢰, 인내, 미적 감각, 경이감으로 정리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영문 초록

Reflecting upon the problematic presuppositions of childhood and childcenteredness underlying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and elementary school policie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consider Dewey'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childlikeness for its ideati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a preliminary inquiry, the distinctive perspective of children and childhood in Dewey's educational thoughts is explored in comparison with the modern developments of child-centered ideas in the history of education. It is noted that Dewey's view is differentiated in regarding genuinely educative growth as inter-directional process so as to require us to prepare for growing-down into childlikeness while growing-up into mature adulthood, which implies more than the needed respect for the intrinsic value of childhood. The major analyses in this paper deal with the four characteristic conceptions of understanding children in Dewey's educational thoughts, as both the essential-ideal traits of childhood and as the idealized educative value for continuous human growing: dependence, plasticity, playfulness and sympathetic curiosity. Finally, summing up Dewey's critical and constructive suggestions, it is claimed further how crucial it is to develop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childhood for reforming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and relevant elementary school policies toda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어린이와 '아동중심' 개념에 관한 예비적 고찰
Ⅲ. 어린이다움의 가치 특성과 교육적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영(Yi Tae Young),양은주(Yang Eun Joo). (2015).듀이의 철학적 어린이 이해와 '아동중심'의 교육적 의미. 교육사상연구, 29 (1), 107-135

MLA

이태영(Yi Tae Young),양은주(Yang Eun Joo). "듀이의 철학적 어린이 이해와 '아동중심'의 교육적 의미." 교육사상연구, 29.1(2015): 107-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