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경찰관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329

영문명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Female Police Officers' Satisfaction of Duties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진계숙(Jin Kye suk)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3권 1호, 286~312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여성경찰관의 비율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다원화된 치안수요 충족을 위해 여성경찰관의 역할은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분석함은 조직과 개인을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여성경찰관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밝히고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정책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매슬로우의 동기부여요인과 해커먼과 올드햄의 직무특성요인 그리고 양성평등의식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동기부여요인으로는 사회성과 인정감이, 직무특성요인으로는 업무중요성이, 양성평등 측면에서는 개인의 양성평등인식이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성과 인정감 향상을 위해서는 동료와 상관과의 원만한 인간관계 유지를 위해 워크숍, 간담회, 동아리별 모임 활성화로 소속감을 심어주고 성과주의문화 확산 등으로 승진과 포상 제도를 합리적으로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직무특성과 관련하여 업무중요성은 여성경찰관의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임에 따라 조직에서는 직위공모제 등을 통해 유리벽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직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한편, 여성경찰관은 중요업무 수행을 위해 업무지식에 대한 부단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양성평등 측면에서는 개인은 공과사를 분명히 하고 무슨 일이든지 적극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 등 사고의 전환이 중요하며 조직에서는 주기적인 양성평등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various occupations in Korean society, preference to the public officials is very high regardless of gender.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identify how much satisfaction female police officials feel about their duties a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satisfac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in their duties of female police officers. As motivation factors, Maslow suggested stability, safety, sociability, self-esteem needs and self-realization desires, and as duty characteristics factors, Hackman and Oldham suggested importance of duties, autonomy, feedback, variety of functions and duty identities. Additionally, gender equality was tried to be examined in this research even though it is not an influencing factor which was suggested by preceding studies.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ability, importance of duties and individual senses of gender equality are all major influencing factors in female police officers. Additionally, the sense of acknowledgement in the organization could be a factor to improve satisfaction of duties to female police officers. So,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alternatives were suggested.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sense of acknowledgement of female police officers, organization cultures of communication and harmony should lead so that smooth human relationships could be maintained in the organization and reasonable and fair reward systems should be provided to recognize their self-prides and acknowledgement of duty execution capabilities. Second, because the importance of duties in duty characteristics could bring the biggest influences to satisfaction of duties of female police officers, important duties in the organization should be assigned to female police officers and consequently, consistent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followed also because officers' duties could bring big influences to the organizations and citizens as well. Third, the most important thing than anything else are the changes of working ethics of female police officers. Female police officers should not settle for the present but rather perform their given duties with actively thinking and pioneer their own professional areas. Organizations should follow regular education about gender equality and various supporting policies including installation of childcare facilities and securing replacement forces during the maternity leave etc. Eventually, as female police officers obtain their capabilities and qualifications and their satisfaction of duties are improved, everybody should make efforts together to provide high quality security services to the citizen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계숙(Jin Kye suk). (2014).여성경찰관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3 (1), 286-312

MLA

진계숙(Jin Kye suk). "여성경찰관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3.1(2014): 286-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