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당을 훔친 딸> 설화의 형성 배경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3

영문명
The Study on the forming background of the folktale of "The daughter stealing Myungdang,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The project of making a bad daughter developed in Joseon in the 17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심민호(Shim Min ho)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1권, 301~330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전통 여성상은 크게 어머니와 며느리 그리고 딸로 나타난다. 이 중 딸의 형상은 귀엽고 사랑스러운 존재 혹은 효녀의 이미지를 갖는 좋은 딸과 친정에 해악을 끼치는 나쁜 딸로 표현된다. 이러한 딸로서의 여성상은 설화ㆍ속담ㆍ속신 등 여러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설화에 나타난 딸의 여러 형상 중 일부인 <명당을 훔친 딸>의 형성 배경을 찾고자 하였다. 설화의 형성 배경을 추적하는 것은 매력적인 작업일 것이다. 그러나 설화의 형성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열려 있기 때문에 쉽게 결정을 내리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본고에서는 <명당을 훔친 딸> 설화의 형성 배경의 실마리를 풍수지리에 의해 찾고자 하였다. 풍수지리의 시각에서 <명당을 훔친 딸> 설화를 검토하고 역사적 사실과 전설의 현장을 답사한 결과 설화와 역사 그리고 풍수담론의 관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조사된 이야기 중 가장 오래된 연대를 보여주는 설화는 포은 정몽주의 손녀에 관련된 것이다. 포은의 증손녀가 자기의 할아버지가 안장될 장소가 명당이라는 말을 듣고, 물을 부어 못쓰게 하였다. 그리고 그렇게 뺏은 자리에 시부모를 모셨다는 이야기는 역사적으로 두 인물의 연대가 맞지 않기 때문에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풍수지리학으로 묘를 검사해 보아도 먼저 묘를 썼던 자리가 더 좋다는 근거를 찾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현재 많은 사람들은 정몽주와 이석형의 묘를 답사하고 풍수지리적으로 이석형의 묘가 더 좋다는 결론을 내려 설화의 내용을 사실로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묘가 조성될 당시의 원형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풍수지리적으로 볼 때 <명당을 훔친 딸> 설화가 실제 묘와의 관련 속에서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적다면, 이러한 이야기가 형성된 배경은 풍수담론과 특정 시기의 새로운 관념의 결합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명당을 빼앗을 수 있다는 명당탈취담의 전통은 삼국유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석탈해 신화'는 양택명당을 속임수를 써서 빼앗는 것이다. 명당탈취담은 고려말 음택발복관념의 확산과 더불어 묫자리를 빼앗는 이야기가 등장하게 된다. <명당을 훔친 딸> 설화는 이러한 풍수설화의 전통 속에서 나쁜 딸이 명당을 탈취하는 주인물로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쁜 딸이 명당을 훔치게 된다는 모티프는 17세기에 삽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17세기는 명문 가문이 형성되고 가부장제가 강화된 시대이다. 이러한 때에 열녀 담론을 활용하어 가문의식을 강화하려 했던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열녀 담론은 시가의 입장에서 며느리에 대한 의무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면, <명당을 훔친 딸> 설화는 친정의 입장에서 딸에게 나쁜 이미지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딸에게 주어진 악역으로 인해 여성은 친정에서 추방된다. 17세기에 이루어진 나쁜 딸 만들기는 유산 분배에서 여성을 배제하게 되었고, 봉제사의 의무 또한 남성의 전유물로 남겨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나쁜 딸 만들기 프로젝트는 장자 중심의 재산 상속과 삼종지도의 보편화라는 목적하에 기획된 17세기의 산물이다. 그렇지만 나쁜 딸 만들기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유구한 전통으로 위장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포은 정몽주의 산소 분쟁에 이야기를 접목시킨 것이었다.

영문 초록

Korean traditional women's images are mostlymother, daughter-in-law and daughter. Among these, the images of daughter are shown in two ways : A good daughter like a sweet and lovely or dutiful child, a bad daughter influencing on the family of her birth. These images of daughter are shown in the folktales, proverbs and folk-belief. In this study, I tried to research the forming background of "the daughter stealing Myungdang,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which is a part of several daughter images in the folktales. Tracing the forming background of folktales can be a charming work. However, there are several possibilities open about the forming background of folktales. Therefore, that can't be simply determined. I tried to get the dues of the background of folktale, "the daughter stealing Myungdang", based on the Fengshuijiri,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he topography. Examining the folktale of "the daughter stealing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from that point-of-view and making a field investigation on the spots of history and folktales,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related history and folktales are out of accord with the Fengshuijiri. The oldest tale recorded up to now is the tale of the great granddaughter of Poeun, Jeong Mongju. Poeun's great granddaughter ruined her great grandfather's site for the grave by pouring water on it when she heard it was the very propitious site. Then, she entombed her parents-in-law on the stolen spot. But that can't be true since the periods of the two persons don't match chronologically. It was difficult to support that the former grave site was better even though examining the site based on the Fengshuijiri. Still, many people support the tale as the truth by concluding Yi Dukhyung's grave site is more propitious than Jeong Mongju's after some field investigation. This judgment didn't consider the original situation of the graves at that time. If the tale hadn't been originated from real grav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ackground of the tale came from the combination of the topographic theory and the new idea in the specific era. First, the tradition of stealing the propitious gravesite can be found in the book of Samkukyusa. The myth of Seoktalhae in Samkukyusa is the story of stealing an ideal gravesite by trick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the idea of Umtakbalbok was spreaded widely the belief that good gravesite brings good fortune. The tale of bad daughter stealing Myungdang could have been based on this topographical tradition. And this bad daughter motif must been concretized in the 17th century. In the 17th century, illustrious families were formed and a patriarchal system became strengthened. It is well-known they intended to reinforce the loyalties to the family by the idea of a chaste woman. While Chaste Woman is the idea of a dutiful daughter-in-law to the family of her husband, a daughter stealing Myungdang is a daughter harming the family of her birth. And due to this heavy part, a woman was expelled from her own parents'family. The project of making a bad daughter developed in Joseon in the 17th century helped awoman excluded from the division of an estate. Furthermore, the duty of performing the ancestral rites was fixed on a man. The project of making a bad daughter developed in Joseon in the 17th century was the outcome of the 17th century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birthright and Samjonjido, the principle that a woman should obey her father, her husband and her son. For the success, the project needed to be veiled as a long tradition. So, the story was adapted to the dispute on the gravesite of Poeun, Jeong Mongju.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유구한 혹은 만들어진 전통
2. <명당을 훔친 딸> 설화의 전승양상과 의미
3. 풍수지리의 시각에서 본 <명당을 훔친 딸> 설화
4. 나쁜 딸 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한 만들어진 전통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민호(Shim Min ho). (2005).<명당을 훔친 딸> 설화의 형성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1 , 301-330

MLA

심민호(Shim Min ho). "<명당을 훔친 딸> 설화의 형성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1.(2005): 301-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