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뉘힘내기 설화>의 신화적 성격 연구

이용수 516

영문명
A Study on the mythic characteristic of tale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이지영(Lee Ji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7권, 221~25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설화의 신화적 성격과 그 변모상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결 주체인 神格들의 다양한 모습과 힘내기 내용의 변모 등을 주로 살핀 뒤, 이를 다른 구전 자료와 대비함으로써 이 설화의 서사적 위치와 의의를 가늠하려고 하였다. 오누이가 대결의 주체로 설정된 자료들과 역사인물이 오누이로 설정된 자료들이 있는데, 전자는 향유층에 주로 지명유래담으로, 후자는 역사인물담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강하다. 각편들을 홀어미와 오누이의 성격, 싸움의 이유, 그리고 힘내기의 내용 등의 측면에서 살폈다. 우선, 오누이가 대결의 주체인 경우, 오누이는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인데 특히 누이는 거인 여성신의 모습을 지니며, 홀어미가 과부로 설정되었으나 원래의 모습을 달랐을 것이고, 싸우는 이유가 분명하지 않다. 역사인물이 대결의 주체로 바뀐 경우 그 주체는 대개 체제모반적인 역사인물이다. 여기에는 홀어미가 힘내기를 방해하는 자료군이 있는가 하면, 홀어미가 아예 등장하지 않은 자료군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싸움의 이유가 분명해졌으며 敍事의 핵심적 축인 홀어미가 빠지면서 누이가 스스로 내기에서 지는 것으로 변모되었다. 한편, <오뉘힘내기 설화>에 속하면서도 오누이 대신에 대결의 주체가 부부, 과부와 홀아비, 姑婦 등으로 바뀌어 등장하는 자료들도 많은데, 홀어미가 탈락된 탓에 힘내기를 방해하는 제3자가 없다. 이 설화의 홀어미 와 오누이의 성격, 싸움의 이유, 힘내기의 내용 등의 요소는 신화적 성격이 어떠한지 짐작하게 한다. 홀어미는 大母神이자 여산신의 원초적 모습으로 보이며, 누이가 치마로 돌을 날라 성을 쌓고 이야기의 결말에 증거물로 성(탑)이 강조된다는 점에서 누이는 창조신의 성격을 가졌음에 틀림없다. 끝으로, 싸움의 이유와 그 성격으로 보아, 이 설화는 자연 형성에 관여한 신격들의 이야기이며, 그것은 '치소차지 경쟁담'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다만, 주인공들이 인간적 면모(과부, 오누이 등)를 띠면서 전설적 성격이 강화되고 나아가 비극성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남성적 사고와 문화의 영향도 무시하기 어렵다. 그리고 우리의 서사문학에 등장하는 치소차지 경쟁의 범주가 '인세→국가→특정 지역'으로 나아간다고 할 때, 이 설화에서 보이는 '한집'은 결국 '특정 지역'의 다음 단계로서 치소 범주의 끝자락에 놓인다.

영문 초록

, an oral traditional folktale spread nation-wide, is known as a legend which explains the history of a natural object. However, it is supposed that this folktale originally had a characteristic of a myth but gradually became more like a legend as the hero in the story changed to a specific historical person. This folktale is a tragedy. Both the brother and sister who are the main characters in this folktale are of great physical strength. According to the original version, during a strength contest between the two, the brother kills the sister with the help from their mother. However, in the extant versions of , those who play the strength contest are not a brother and a sister but a married couple, a widow and a widower, or a mother and her daughter-in-law. Many of the extant versions do not contain the part where the sister gets kill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the folktale has changed quite a bit. This study propose to explain the mythic characteristic of and the story changes in which have little been studied in the past. For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the deities who are the players of the strength contest and how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contest have changed. This study then contrast them with those of other oral traditional folktale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changes in the mythic characteristics. First, this study rearranges the historic materials regarding into the two cases where the brother and sister or historical people play the contest. An analysis of the two cases shows that originally the sister is both a giant goddess and the great mother and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mountain goddess. However, the sister later changed to a 'Hol-eo-mi' or a widow. As the strength contest, the brother goes to and come back from Seoul wearing wooden shoes while the sister, who has the trait of the 'creation goddess,' carries rocks on her skirt and piles them up to build a castle. Next, the brother and sister fight each other for no obvious reasons, and this is related to the tradition of 'competition by deities to occupy the near area.' Frequently the deities fight each other to protect their own near areas and get killed or ousted when defeated. Therefore, the death of the sister closely follows the mythic tradition. However, the sister who are originally a giant goddess gradually change to a weak and tender sister, and the brother changes to a historical person. As a result, had lost the mythic feature and became more like a tragic legend in which the sister is killed by the weaker brother. This also reflects the influence of the andro-centric patriarchal culture.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오뉘힘내기 설화>의 전승 양상
3. 대결 주체가 변모된 <오뉘힘내기 설화> 계열의 구전설화
4. <오뉘힘내기 설화>의 신화적 성격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Lee Ji young). (2003).<오뉘힘내기 설화>의 신화적 성격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7 , 221-259

MLA

이지영(Lee Ji young). "<오뉘힘내기 설화>의 신화적 성격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7.(2003): 221-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