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며느리-단혈>의 연행과 젠더화 기획에의 동화와 탈주

이용수 111

영문명
The Study on the Project of the Gendered in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of the daughter-in-law destroying propitious site for a grave(며느리-단혈)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김영희(Kim Young he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9권, 179~247쪽, 전체 6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1
10,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며느리-단혈>은 어느 장자의 며느리가 시주승에게 '손님이 많아 힘들다'는 하소연을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시주승이 제시한 단혈(斷穴)을 직접 시행하는 바람에 집안이 망하게 되었다는 내용의 구전서사다. 며느리는 시댁을 망하게 할 의도를 전혀 갖지 않은 채 단지 자신의 노동이 조금이나마 줄어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시주승에게 조언을 구하고, 집안의 부(富)가 명당이나 특별한 바위에 깃든 성스러운 힘에 연원하는 것임을 알지 못한 채 혈을 파괴한다. 그러나 플롯을 통해 가문의 몰락이라는 파토스를 이끈 비극적 결함은 며느리의 과오로 규정되고, 파국의 충격 때문에 이 과오는 필연적 결함을 넘어선 윤리적 '죄'로 재단된다. 현재까지 약 200여 편이 넘는 자료가 조사ㆍ보고된 <며느리-단혈>은 90% 이상의 연행자가 '남성' 개인 혹은 '남성' 집단이다. 특히 이들은 공동체의 지식과 가치를 전수하는 일을 자신의 사명으로 여기는 토박이 이야기꾼들로서 마을의 유구한 역사를 선전함으로써 자긍심을 드러내거나 공동체의 질서를 지탱하는 규범을 훈육하고자 하는 의도로 연행을 이어나간다. 일대일의 연행이든 집단적 연행이든 간에 <며느리-단혈>의 연행은 '남성' 동성 집단 내부의 결속을 강화하는 동시에 개별 연행자를 동질적인 '남성' 주체로 거듭나게 하는 입사적(入社的) 효과를 창출한다. 지역이나 국가로 결집하기에 앞서 가문 공동체로 결속되어야 하기에 가문의 번영을 자신의 과업으로 삼지 않을 수 없는 '남성' 주체에게 <며느리-단혈>의 연행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 과거에 권세와 부를 누렸음을 증명하는 작업이 되기도 하고 경쟁 관계에 있는 집안이 몰락하게 된 과정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상대적 우월감을 드러내는 일이 되기도 한다. 여기서 중요한 문제는 가문의 몰락이 며느리의 과오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인데, 이는 남성 연행 주체의 현실에 존재하는 가문 집단 간의 경쟁에서 오는 긴장감이나 권력 관계에서 비롯된 상대적 열등감을 회피하기에 좋은 방어기제를 제공한다. <며느리-단혈>의 연행이 '죄'를 가진 '여성'과 이 '죄' 때문에 언제든지 '파멸'할 수 있는 '남성'이라는 정체성의 시나리오를 연행 주체에게 기입하고 수행케 함으로써 젠더화된 주체를 형성한다고 할 때 이는 '남성'뿐 아니라 '여성' 주체의 자발적 동화와 공모에 기초한다. '여성' 연행자들이 때로 더 신랄하게 며느리의 과오를 질책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다. 그러나 구전서사의 반복적 연행은 전승의 지속성에 견인되는 경향성 외에 변화에의 지향을 내포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여성의 죄'라는 젠더화의 기획에도 균열이 발생한다. '남성' 주체 스스로의 모순과 자기 반성, 혹은 '여성' 주체의 연행 참여 확대와 반항적 재맥락화를 통해 '남성'의 비극이 '여성'의 과오에 기인하는 것인지 회의적으로 질문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곧 연행의 다성성과 서사ㆍ연행 층위 간의 이질적 틈새가 <며느리-단혈>의 연행에 작용하는 젠더화 전략의 기반을 흔드는 탈주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how the strategies operate on producing the gendered subject through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of the daughter-in-law destroying propitious site for a grave('며느리-단혈'). In the tragic plot of the story, the sacred 'male' runs into pathos because of hamartia representing 'female's faults. The intended purpose is to analyze the way to produce the concept of 'the faults' as a priori and a natural 'sin', by making clear the recursive process in which female's actions are interpreted as irrevocable faults, and subsequently, are recontextualized as 'the female's sin' in the oral-narrative. Increasingly, it is to be revealed not only which factors and conditions of narrative constitute 'the female's sin', but also how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representing it contributes to make the gender subject of the performer and comes to disintegrate the scenario of gender-identities at the same time. If the oral-narrative constitutes scenarios indicating specific gender-identities and its performance implies symptoms of the gendered, performing itself is the processes of enacting the gender-identity of male or female and the performative mechanism is the matrix which produces the gendered subject. Furthermore, when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presents the structure having an effect of initiation into a society, it works on individual performers as a normalization system based on the criterion and standard of social homogenization. The more performances of the oral-narrative are repeated, the more firmly the female's sin becomes circulating the recontextualized circuit. On the other hand, as performances of the sin image of the female are repeated, gradually appear the symptoms of cracking and flight in the matrix of performance as a mechanism producing the gendered subject. First of all the symptoms are revealed as logical defects which necessarily exist in the project of the gendered. The gender-border of the male which is made by objectifying the female exclusively, depends on the gender-border of the female logically, since its category cannot be constructed without establishing the boundary of 'female'. Most of all the factors deviating from normalization are necessarily to be incorporated into the boundary as essential components again. They have been excreted from the male-subject to solidify the gender-border of 'male'.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여성의 죄'를 구성하는 <며느리-단혈>의 서사 전략
3. '남성' 집단의 결속과 동질화에 기여하는 <며느리-단혈>의 연행
4. <며느리-단혈>의 연행과 젠더화된 주체의 형성
5. <며느리-단혈>의 연행에서 나타나는 젠더화의 균열과 탈주 징후
6.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희(Kim Young hee). (2009).<며느리-단혈>의 연행과 젠더화 기획에의 동화와 탈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9 , 179-247

MLA

김영희(Kim Young hee). "<며느리-단혈>의 연행과 젠더화 기획에의 동화와 탈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9.(2009): 179-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