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께' 말하기
이용수 170
- 영문명
- Speaking 'With': Rethinking Whitman's Sympathy in/outside His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 저자명
- 정은귀(Chung, Eun-Gwi)
- 간행물 정보
- 『영미연구』제28집, 133~160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invites readers to rethink the notion of Walt Whitman's sympathy via David Reynolds's cultural studies. Indebted to Reynold's rigorous recreation of the vanished literary culture shaped by canonical and popular writers of Whitman era, this essay compares the lines from "Song of Myself" with one of Henry Wadsworth Longfellow's slave poems, "The Slave in the Dismal Swamp." At once locating Whitman in and out of the literary criticism and weaving D. H. Lawrence's discourse on Whitman and Deleuzian thinking of "feeling with" and the superiority of Anglo-American literature, this essay, in the tangled web of cultural discourse and literary theories, tries to envisage the greatness of Whitman's earlier poems rooted in the vernacular language and rhythm of his own time. In a sense, it is a project revising and complementing Reynolds' reading of Whitman and going beyond the limit of his reading on cultural geography.
Questioning how Whitman digested his culture and kept distance from the genteel tradition of his time that Longfellow adopted without hesitation, I propose Whitman attain a different layer of sympathy in his slave poem, while Longfellow fell in the net of 'pity' in a condescending gesture. Whitman's sympathy as the form of feeling/speaking with makes readers re-experience 'the contact zone' with others, without the moral superiority represented in many sensational and moral writings in that era. Revisiting Lawrence's reading of Whitman and Deleuzian notion of feeling with, this essay concludes Whitman's poetic achievement is not literary isolationism of a lonely genius, but a radical practice of 'becoming' minority, transforming the ordinary space in his own culture into the act of doing in the Open Road.
목차
1. 휘트먼과 당대 문화
2. 세상 속에서 "함께 말하기"
3. 공감, 접촉, 열린 길
4. 글을 나가며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임스 볼드윈의 『또 다른 나라』에 나타난 자기 재현과 초월적 사랑의 문학적 비전
- 창의력을 돕는 영어학습법 연구
- The Quilt Woven with Repressed Memories: Toni Morrison's Beloved
- America's Highway Consensus: Its Rise and Fall
- A Nihilistic Journey to Restore Art in Ezra Pound's "Hugh Selwyn Mauberley"
- A Study on Different LevelStudent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English Extensive Reading
- '함께' 말하기
- Alchemy and Christianity in Fragment VIII of The Canterbury Tales
- 미국펀드산업 지배구조 발전의 역사 및 한국 펀드산업에의 교훈
- "죄의식과 운하임리히"에 관한 코울리지의 비전
- Teaching Consecutive Interpret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 D. H. 로렌스의 「공주」와 제임스 조이스의 「가슴 아픈 사건」에 나타난 소통 실패의 양상
- Contrasting Women in Patriarchal Tradition: Buchi Emecheta's The Joys of Motherhood, Mariama Bâ's So Long a Letter, and Scarlet Song
- 『명예의 전당』과 『선녀열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