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천지역의 천주교 박해와 제물진두

이용수 133

영문명
Persecution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e Jemuljindu in Incheon
발행기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저자명
방상근(Bang, Sang-Keun)
간행물 정보
『누리와 말씀』제35호, 37~65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병인박해 때 인천의 제물진두(濟物津頭)에서는 10명(1868년 4명, 1871년 6명)의 신자들이 처형되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제물진두와 천주교의 관계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1868년에 처형된 4명은《치명일기》와《박순집증언록》에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을 뿐이며, 1871년에 처형된 6명은 제물진두에서 처형했다는《일성록》의 보고 기사가 전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천 지역의 박해와 제물진두와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1868년과 1871년에 제물진두에서 천주교 신자들이 처형된 배경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기록상 1868년의 처형은 신자들이 관여한 덕산 사건과 영종에서의 교전으로 척사 의식이 고조되던 시기에, 부평에서 체포된 손 베드로 등이 처형된 것이다. 그리고 1871년의 경우는 이연구 형제가 신미양요를 일으킨 미국 군함에 접근하려 한 죄목으로 처형되었고, 이재겸의 처를 비롯한 3명도 신미양요의 여파로 제물진두에서 처형되었다. 결국 제물진두에서 신자들이 처형된 배경과 과정은, '서양세력의 침공 → 천주교도가 내응하고 이끈 결과라는 인식 → 척사 의식 고조 → 천주교도에 대한 탄압 지시 → 서양배와 관련된 장소이자 백성들을 경계하는 효과가 큰 진두(津頭)에서의 신자 처형'으로 도식화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의 처형은 1866년 양화진두 처형부터 본격화되었으며, 1868년과 1871년에 있었던 갑곶진두(강화)와 갈마진두(보령 수영)의 처형도 같은 성격이었다. 따라서 이 시기 서양배와 관련된 사건이 발생한 경우, 신자들은 대체로 관련 지역의 진두에서 처형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제물진두는 순교지로서의 성격은 있다. 그렇지만 그곳에서 처형된 신자들이 모두 순교자인지는 또 다른 문제이다. 즉 제물진두와 제물진두의 순교자는 별개의 문제로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During the Byeongin persecution, a total of 10 believers (4: 1868, 6: 1871) were executed in the Jemuljindu. So far, however, the relations between the Jemuljindu and Roman Catholic Church have been barely known. Four martyrs who were put to death in 1868 are briefly mentioned in Chimyeongilgi (records of the persecution on Catholicism) and the Testimony of Park Soon-jip. In addition, six martyrs who died in 1871 are just reported in an article in Ilseongrok (a dairy-style chronicle of kings' daily liv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ersecution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e Jemuljindu in Incheon and review the background that Roman Catholics were executed in the Jemuljindu in 1868 and 1871. According to the records, Peter Son and others were executed 1868 when the movement of cheoksa (rejection of heterodoxy) was at its peak due to the Yeongjong Battle and Deoksan Incident in which believers involved. In 1871, on the contrary, Lee Yeon-gu and his brother were executed for attempting to enter into the U.S. warship which caused Shinmiyangyo (the 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 in 1871). In addition, three believers including Lee Jae-gyeom's wife were put to death in the Jemuljindu in the aftermath of Shinmiyangyo. After all,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execution of Roman Catholics in the Jemuljindu can be diagramed as follows; invasion of the western powers → doubt on Roman Catholic's connection with the western powers → spread of cheoksa (rejection of heterodoxy) → order to persecute Catholicism → execution of Roman Catholics in a place(jindu) related with the western ship to make the public be on the alert. This kind of execution started in 1866 (Yanghwajindu Execution) and continued with Gapgotjindu Execution (Ganghwa, 1868) and Galmajindu Execution (Boryeong, 1871). At that time, when an incident associated with a western ship took place, believers jindu around the related region were executed. Meanwhile, Jemuljindu is meaningful as a martyrdom site. However, it is another matter if people who were killed there are all martyr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Jemuljindu martyrdom site and martyrs separately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목차

머리말
1. 1868년 박해와 제물진두
2. 1871년 박해와 제물진두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상근(Bang, Sang-Keun). (2014).인천지역의 천주교 박해와 제물진두. 누리와 말씀, (35), 37-65

MLA

방상근(Bang, Sang-Keun). "인천지역의 천주교 박해와 제물진두." 누리와 말씀, .35(2014): 3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