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가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실태 및 낙상관련요인

이용수 1425

영문명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ccording to health status in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정영미(Jung, Young-Mi) 이성은(Lee, Seoung-Eun) 정길수(Chung, Kil-Soo)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6권 2호, 291~30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실태 및 낙상관련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재가노인 258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04년 1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였다. 낙상횟수는 남자노인 평균 1.5회, 여자노인 1.9회를 경험하였으며, 낙상시 손상정도에서 남자노인은 작은 손상 4명(40.0%), 입원치료 4명(40.0%)이었으며, 여자노인은 작은 손상 39명(40.7), 병원치료가 24명(25.0%)순으로 나타났다. 낙상노인집단의 낙상경험을 조사한 결과 낙상을 경험한 노인 106명 젓 남자노인의 평균나이는 71.3세, 여자노인은 74.3세였으며, 만성질환에서 남자노인은 평균 1.7개, 여자노인은 2.4개를 가지고 있었다. 대상자의 질환력에 따른 낙상경험 유무를 살펴보면 관절염, 치매가 있는 집단에서 낙상경험자가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낙상경험 유무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평형감각, 보행장애, 의자에서의 기동성, 만성질환 갯수, 건강기능식품이었다. 낙상노인집단과 비낙상노인집단의 낙상효능감 정도에서 낙상노인집단은 평균 84.5점, 비낙상노인집단은 평균 89.1점으로 비낙상노인집단의 낙상효능감 점수가 더 높았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낙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평형감각, 보행장애, 건강기능식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가노인뿐만 아니라 병원, 요양시설, 양로시설 등 다양한 곳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낙상실태, 위험인자 조사 및 추후경과를 대규모로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만성질환에 따른 노인의 낙상실태와 낙상예방프로그램을 통한 낙상위험감소에 대한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ccording to health status in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The subject was 258 elderly person over 65 who liv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as utilized for the data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equilibrium sense, gait ability, mobility in the chair, number of disease, health food, arthritis and dementia according to those who fall and those who do not fall. 106(41.1%) of the elderly subjects experienced a fall. The FES (Fall Efficacy Scale) score of non-faller group was higher than faller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wo group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fall experience were equilibrium sense, gait disability and health food. It is suggested to do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fall rate according to chronic disease as well as prevalence, risk factor and follow-up of falls in elderly living in various settings.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fall prevention program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and effects on it.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미(Jung, Young-Mi),이성은(Lee, Seoung-Eun),정길수(Chung, Kil-Soo). (2006).재가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실태 및 낙상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6 (2), 291-303

MLA

정영미(Jung, Young-Mi),이성은(Lee, Seoung-Eun),정길수(Chung, Kil-Soo). "재가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실태 및 낙상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6.2(2006): 291-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