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 알쯔하이머형 치매에서의 "7분 스크린"

이용수 44

영문명
A 7Minute Screen for Korean Alzheimer's Disease -Validity & Reliability
발행기관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저자명
오병훈(Byoung-Hoon Oh) 이정현(Jung-Hyun Lee) 이병욱(Byung-Ook Lee) 안석균(Suk-Kyoon An) 이필구(Pil-Goo Lee) 유계준(Kae-Joon Yoo)
간행물 정보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임상노인의학회지 제1권 4호, 34~41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2.2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 알쯔하이머형 치매는 조기에 진단해야 빠른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선별검사의 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Paul S. Solomon 등이 개발한 "7분 스크린'은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조기 감별에 높은 민감도를 가지고 있고, 제한된 시간내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이점을 가진 도구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7분 스크린"을 한국인에게 맞도록 번안 적용하여 한국인 알쯔하이머형 치매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도구로 표준화하기 위하여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진단을 받은 노인 환자 36명과 연령, 교육정도를 일치시킨 정상 노인 대조군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Benton temporal orientation test, enhanced cued recall test, clock drawing test, verbal fluency 등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7분 스크린"-한국어판과 MMSE-K, CDR, BDRS, GDS, Hachinski Scale을 적용, 평가하였다. 검사자간 신뢰도 측정을 위해 한 번의 "7분 스크린" 시행 때마다 두 명의 검사자가 동시에 평가를 하였으며, 검사-재검사간 신뢰도 측정을 위해서 한 달 후 재평가하였다. 결과 : 환자군과 대조군에 있어 "7분 스크린"의 네 가지 항목 점수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그리고 MMSE-K 점수와 "7분 스크린"을 통해 구해진 알쯔하이머형 치매에 이환되어 있을 확률을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analysis 해 보면, MMSE-K의 area under the ROC Curve(AUC)가 0.901, "7분 스크린"은 0.814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111). 그러나 "7분 스크린"의 결과로 제시되는 고위험군, 저위험군 등의 결과는 민감도 92%, 특이도 37%, 양성 예측도 62%, 음성 예측도 88%를 보였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0.97, 검사-재검사간 신뢰도는 0.75였다. "7분 스크린"을 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환자군이 12분 21초, 대조군이 10분 5초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7분 스크린"이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유용한 진단도구라는 것은 판명되었으나 우리 나라 노인에게 원안의 기준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타당도에 있어서 부족한 면이 시사된다. 향후 "7분 스크린"을 유용한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선별검사도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리 나라 노인의 교육수준과 문화에 맞도록 "7분 스크린"의 항목 및 기준을 수정 보완하여 특이도 등의 타당도를 높이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The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enables prompt and proper treatment. Therefore, the necessity of a screening test for the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cannot be overly emphasized. The "7 minute screen" test developed by Paul S. Solomon shows high sensitivity in early Alzheimer's disease screening and has merits in being able to be performed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is study had translated the "7 minute screen" test adaptable for Koreans, and evaluated its capability as a standard tool for the screening of early Alzheimer's disease in aspects of the tes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 The subject group consisted of 36 person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and an age and education level matched group was determined as the control. The "7 minute screen" Korean version test comprised of a Benton temporal orientation test, enhanced cued recall test, clock drawing test, and verbal fluency along with MMSE-K, CDR, BDRS, and GDS were implemented and evaluated. For measurements of interrater reliability, two test examiners simultaneously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7 minute screen" and for measurements of test-retest reliability, re-evaluations were done 1 month later. Results : The results of all 4 components of the "7 minute scree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control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lso, evaluation of the contraction rate of Alzheimer's disease according to the scores of MMSE-K and "7 minute screen"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showed a MMSE-K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value of 0.901 and a "7 minute screen" AUC value of 0.814 resulting in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111). However, the results of the high and low risk groups by the "7 minute screen" had a 92% sensitivity, 37% specificity, 62%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an 88% negative predictive value.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0.97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0.75. The average time needed in completing the "7 minute screen" was statistical significant being 12 minutes 21 seconds in the subject group and 10 minutes 5 seconds in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The implementation of the "7 minute screen" as a diagnostic tool for Alzheimer's disease has been verified, however, the validity of the test for its use in the Korean elderly is insufficient. Therefore, for the "7 minute screen" to be a valuable tool for the screening of Alzheimer's disease in the Korean elderly, the components and standard values of the test needs to be modified according to culture and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tests specificity and validity.

목차

Abstract
서론
방법
결과
고찰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병훈(Byoung-Hoon Oh),이정현(Jung-Hyun Lee),이병욱(Byung-Ook Lee),안석균(Suk-Kyoon An),이필구(Pil-Goo Lee),유계준(Kae-Joon Yoo). (2000).한국인 알쯔하이머형 치매에서의 "7분 스크린".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 (4), 34-41

MLA

오병훈(Byoung-Hoon Oh),이정현(Jung-Hyun Lee),이병욱(Byung-Ook Lee),안석균(Suk-Kyoon An),이필구(Pil-Goo Lee),유계준(Kae-Joon Yoo). "한국인 알쯔하이머형 치매에서의 "7분 스크린"."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4(2000): 34-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