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유부벽정기>의 '경계성'에 대하여

이용수 347

영문명
Study on 'the Borderline Consciousness' of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수연(Kim, Soo-Yo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9권, 217~250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취유부벽정기>에 대해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비판정신이나 저항 혹은 도선사상에의 경도나 현실도피 등 상반된 주장이 병존할 수 있었던 것은 김시습이 지닌 의식의 경계성 때문이다. 경계성은 단순히 두 개의 영역을 절충하거나 모호하게 양자에 걸쳐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대립되는 두 개의 영역 사이에 존재하지만 물리적 개념의 '사이'가 아니며, 공간을 중심으로 하지만 행위, 상태, 의식 등 모든 영역에서 생성 가능한 독립 영역이다. <취유부벽정기>는 이러한 경계성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이다. 따라서 작품이 만들어내는 미감을 정직하게 감상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습적 독법에서 자유로워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경계(성)'의 핵심 개념으로 '공간경계역'이라는 특수 공간 개념을 설정하였다. 공간경계역이란 하나의 물리적 공간 안에 여러 개의 시간 층이 겹쳐있는 특수공간을 이른다. 겹쳐진 시간 층인 시간주름은 공간경계역에 역사성을 부여하고 역사성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줌으로써, 경계역에 존재하는 개인을 역사적 존재로 치환시킨다. 시간주름 속의 개인은 자신이 서 있는 공간을 스쳐갔던 여러 대의 시간층을 동시에 경험하며 특히 그 가운데 자신의 현재 상황과 유사한 역사적 시간에 공감한다. <취유부벽정기>의 부벽정이 바로 이러한 공간경계역의 성격을 지닌다. 이 작품은 현실에서 공간경계역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인 '취'와 일상과 일탈의 경계인 '유'를 지나게 한다. 의식이 이완되고 자유로워진 '취한 상태'의 홍생은 내면의 감흥을 제어하지 못하고 일상을 벗어나 강물을 따라 '노닐다가' 부벽정에 이른 것이다. 강물을 거슬러 올라간다는 행위는 부벽정이 인물의 원래 위치보다 위쪽에 존재함을 알려주는데, '위'라는 방향성은 공간적으로는 천상을, 시간적으로는 과거를 의미한다. 따라서 부벽정은 우리민족의 사실적 역사공간이면서도 동시에 천상계의 환상성을 지니고 있는 역사적 초현실성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작가는 이것을 달나라나 신선세계와 같은 의경 속에서 단군, 기자, 동명왕으로 이어지는 역사흥망의 한을 끌어내는 것으로 모두고 있다. 부벽정에서 홍생의 현실적 비애는 역사적 비감과 연결된다. 그의 비감은 시를 통해 드러나는데, 시흥(詩興)이 고조되는 찰나 시간층의 한 부분과 만나는 그의 내면이 기씨라는 역사적 자아의 형상을 만든다. 홍생과 기씨의 창화는 자아간 대화의 성격을 지니므로, 그들의 시는 독립된 의경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전체로서 하나의 미감을 만들어낸다. 비애감을 드러낸 홍생의 시는 자신을 알아주는 이 없는 외로움을 여운으로 남기고, 이에 응하기 위해 나타난 기씨는 홍생의 비감을 이으면서도 천상의 이미지를 연결하여 시회가 이루어지고 있는 부벽정의 초현실성을 강화하고 있다. 마지막 시에서 기씨는 화자를 자신과 홍생으로 번갈며 천상과 지상의 이미지를 이어가면서 환상의경에서 애상의경으로 이어지는 미감을 창출하고 있다. 고조된 비감은 끝내 해소되지 못하고 시가 끝나며, 기씨는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이때 부벽정은 공간경계역에서 현실로 환원되고 그 순간에 느껴지는 의식의 떨림으로 인해 홍생은 비진사진(非眞似眞), 사몽비몽(似夢非夢)의 몽롱함을 경험한다. 이후 홍생은 자아를 상실한 서글픔으로 인해 정신이 멍하고 말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의식의 부유(浮游) 상태를 경험하다가, 견우의 종사관이 되어 천상으로 올라가게 되어서야 비로소 이러한 상태를 벗어나게 된다. 이것은 홍생이 다시금 기씨와 마주하고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이 작품에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현실의 영역 어느 쪽에도 들지 못하는 불완전한 자신에 대한 연민과 애정, 그리고 자신과 진정으로 소통할 수 있는 대상 즉 진정한 관계에 대한 갈망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소통과 공감의 공간이 평양에서 부벽정, 부벽정에서 천상으로 끊임없이 상향이동하는 것은 그의 갈망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는 것과 비애의 깊이를 말해준다.

영문 초록

The cross fire to -on the one hand it is social criticism or resistance not to make a compromise and on the other it's the concentration upon Taoism or escapism-is caused by Kim, si-seop's borderline consciousness. Either the borderline consciousness is not the mutual concession or the vague stretching over the two different territory. This is not just between the physical area, it stands on its own after coming from doings, situations, consciousness and every possible fields. When we apply the common way of reading to the writings presupposing borderline consciousness, it is apprehended that we take the wrong sow by the ear or underestimate it on account of its ambiguity. features borderline consciousness. So we need to cut loose from a conventional reading to appreciate an esthetic sense it creats. For this reason, we define the new concept 'space boundary zone' as the kernel of a borderline consciousness. Space boundary zone is a special room having various overlapping time slots in one physical space. Time slots show historicity-it inosculates past and present―in the space boundary zone and a man in that place becomes history. While a man in the time slot goes through various time layers simultaneously, he especially feels sympathy for allied situation to his circumstances. Boobeokjeong is the place where there is a space boundary zone. They pass through 'Chui(醉)', a margin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Yu(遊)', routine and deviation in entering space boundary zone. Hong-saeng never stop feeling a sensation of pleasure when he get drunken, his dim consciousness drove him to the Boobeokjeong as his taking a stroll on the river. Ascending a river means Boobeokjeong is above where he used to be, the above is the heavens as for space and also the past as for the time. Consequently, Boobeokjeong is an actual place in history as well as a dreamscape with a fantasy of the heaven. He present writer concentrates on eliciting a lamentation of the rise and fall, connecting from the lunar world or the fairly land with Dangun, the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nation, Kija and Dongmyungwang. Hong-saeng's realistic grief in Boobeokjeong is linked up with his historical sorrow. His poem displays the feeling of sorrow. He rises to the climax facing one part of a time layer, he makes an image Miss Ki, the his historical shape of ego. Cantillation between Hong-saeng and Miss Ki is the conversation from one ego to another, their poems never make a separate scenery but one esthetic feeling as a whole. A Hong-saeng's poem full of sorrows exposes his loneliness, Miss Ki combines Hong-saeng's grief with the image of the heaven and express surrealistic landscape of the Boobeokjeong. As for the last poem, Hong-saeng laid a poetic theme before Miss Ki and she responds in singing including the process of the first brush at the Boobeokjeong and their separation. A highly elated sorrow still survive to the end, Miss Ki vanished into thin air. At that time Boobeokjeong got changed from space boundary zone to reality, Hong-saeng had a dim consciousness through the momentary tremor of consciousness. After this, Hong-saeng underwent the floating of consciousness due to his loneliness of self-effacement, he was to be an aide of Kyeonu in the heaven and finally he found his way out. We can see much chanc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Hong-saeng and Miss Ki. The writer of is anxious for a mate, a truthful relation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incerely and self-pity and affection for incomplete ego. And an upward movement of space-from Pyeongyang to Boobeokjeong and from Boobeokjeong to the heaven―shows an uprush of a longing and unbearable sadnes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경계의 양상 : 취(醉)ㆍ유(遊)
3. 공간경계역 : 부벽정
4. <취유부벽정기>의 미감과 지향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연(Kim, Soo-Youn). (2009).<취유부벽정기>의 '경계성'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9 , 217-250

MLA

김수연(Kim, Soo-Youn). "<취유부벽정기>의 '경계성'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9.(2009): 217-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