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세기 여성의 친정, 시집과의 유대 또는 거리에 대하여

이용수 250

영문명
Women's Relationship to Their Parental Home and Their Husbands' Home in the 18th Century of Chosu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경미(Kim, Kyoung-Mi)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9권, 5~30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 나는 18세기의 대표적인 예론을 통해 당시 사대부들이 친영례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었는지를 살피고, 이것이 실제 여성의 삶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여성을 대상으로 쓴 행장, 묘지명, 제문과 여성의 자전적 기록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당대 규범은 여성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하고 싶어 했고, 또 여성 자신은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했는지를 친정과 시집의 관계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당시 예론을 전개한 학자들은 왕실을 제외하면 친영이 거의 시행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리고 친영이 시행되지 않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번거롭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실제 결혼한 뒤 신혼부부가 여자 집에서 신혼을 시작하거나, 아니면 여자만 계속 친정살이를 계속한 경우들이 많이 보인다. 그러나 여성을 대상으로 한 교훈적 기록물에서는 여성의 삶을 시집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남성 사대부들은 교훈서를 통해 시집에 순종하는 며느리를 만들려는 훈육을 계속하고, 이를 여성의 규범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그치지 않았다. 따라서 18세기까지도 종법에 입각한 가부장적 가족제도가 완전히 정착했다기보다는 양가적인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18세기 여성사가 도달한 지점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논의는 주로 양반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개별적인 사례연구가 보다 더 축적된 뒤에 18세기적인 현상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d to reveal how Sadaebu of the 18th century accepted Chinyoungrye(親迎禮) and how this perception was reflected in women's lives by analyzing records of those days such as haengjang(行狀) which were kind of biographies of Yangban, jemun(祭文), epitaphs inscribed on tombs, and women's autobiographical writings. Focussing on the women's respective relationship to their parental home and their husbands' home, I wanted to show how norms of those days attempted to define women's identity, and how women themselves saw what they were. Scholars who developed the discourse of 예(禮) at those times mentioned that Chinyoungrye was rarely practiced in ordinary lives, and only in the royal family it was followed because of high cost and inconveniences. Generally young couples started their marriage life in brides' parental home. And there were found many cases where only wives kept to live in their parental home. On the other hand, the records which had intended to afford moral lessons to women constructed women's lives focussing only on their husbands' home. Sadaebu tried to discipline women to obey to the will of their in-laws and to make this discipline as a norm for women. Through this study I found that patriarchal system of family based on Jongbub(宗法) was not thoroughly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and two conflicting tendencies co-existed in women's lives. This argument was made based on yangban(兩班), the aristocratic class of those times. Therefore more investigation of individual cases of ordinary lives is needed for more extensive and accurate picture of women's lives in the 18th centur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18세기 예담론에서 언급되는 '친영'
3. 친영의 시행 여부와 친정, 시집과의 거리
4. 여성이 재현한 시집살이와 친정, 시집의 거리 - 〈ᄌᆞ긔록〉을 중심으로
5. 결론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미(Kim, Kyoung-Mi). (2009).18세기 여성의 친정, 시집과의 유대 또는 거리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9 , 5-30

MLA

김경미(Kim, Kyoung-Mi). "18세기 여성의 친정, 시집과의 유대 또는 거리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9.(2009):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