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왕능전』의 설화 수용양상 연구

이용수 31

영문명
A Study on Wang nung Jeon's Receptivity from Folktal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노영근(Noh, Young-Ke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9권, 119~150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왕능전」은 주요한 삽화의 구성에서 설화가 사용되고 있다. <구룡담> 유형과 <진가쟁주담> 유형이 그것인데, <구룡담>과 <진가쟁주담>은 각각 다른 차원에서 소설을 형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우선 <구룡담>은 기존 왕권의 옹호 및 회복이라는 보수적인 주제의식을 갖고 있다. 이러한 주제는 영웅소설인 「왕능전」의 그것과 상통하는 것으로서 작품의 주제 차원에서 사용되고 있다. <진가쟁주담>은 인물의 개심삽화를 구성함으로써 유교의 수신원리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고 하겠다. <구룡담>에 비해 좀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이념을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두 설화는 소설이 지행하는 이념과 주제에 부합함으로써 소설형성에 참여할 수 있었다고 하겠다. 즉, 장르를 초월하여, 서사적인 지향의 동일함이 서사의 상호습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일반론의 도출이 가능하다.

영문 초록

In Wang nung Jeon, principal episode was made with folktales. Gu ryong dam type(AT.738) and Jin ga jaing ju type is that. These are making a story in different dimensions. Former's subject is protect and recover of royal authority. It is common with Wang nung Jeon's subject. So, the former is act in subjective dimension. The latter forming a penitent episode. With this, It configure a Confucian's principle of moral culture in literary form. Both are coincidence with Wang nung Jeon's subject and idea and it make them to take a part in Wang nung Jeon. In conclusion, transcend a Genre, equality of narrative direction make a possibility of narrative usefulnes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왕능전」 자료 개관
3. 작품개관
4. 「왕능전」의 설화 수용양상
5. 민담차용의 원리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영근(Noh, Young-Keun). (2009).『왕능전』의 설화 수용양상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9 , 119-150

MLA

노영근(Noh, Young-Keun). "『왕능전』의 설화 수용양상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9.(2009): 119-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