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인지역 노인의 화장실 용어와 그림문자 인식

이용수 258

영문명
Recognition of Toilet Terms and Pictograms by Elders Living in Seoul and Incheon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이경희(Lee, kyung Hee) 김정희(Kim, Jung Hee) 손영애(Sohn, Young Ae)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8권 4호, 1113~1128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인들은 화장실을 쉽게 찾을 수 없어서 실금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실금은 노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원하는 시간에 화장실을 쉽게 찾는데 도움이 되는 표시판 작성의 기초가 되는 화장실의 용어와 그림문자를 조사하였다. 경인지역의 경로당과 노인복지회관 등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에서 편의표집한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ㆍ소변보는 장소를 나타내는 용어의 복수응답 결과 화장실이 88.3%로 가장 많았고 변소 49.3%, 뒷간 44.4% 순이었다. 대ㆍ소변보는 장소의 글자 표시로 화장실을 선호하는 노인은 77.8%로 대부분이었고, 16.2%는 변소였다. 변소를 선호하는 노인집단의 평균 연령은 77.2세로 화장실을 선호하는 노인 집단의 평균 연령 74.8세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화장실을 선호하는 집단에서의 학력이 더 높은 성향을 보였다. 대ㆍ소변보는 장소를 나타내는 그림의 선호도에서 공공안내 그림이 5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변기그림은 34.8%였다. 변기그림을 선호하는 집단의 학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화장실 공공안내 그림문자에 대해 전체 대상 노인의 51.9%만이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영문 화장실 표시인 Toilet과 Rest Room을 모두 보았다고 한 노인은 14.6%에 불과하였으며, 이중에서 77.7%만이 의미를 알고 있었다. 따라서 노인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시설의 대ㆍ소변보는 장소의 보편적인 용어는 '화장실'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노인시설의 경우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익숙한 용어를 조사하여 화장실과 함께 겸해서 사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림문자의 경우 학력이 낮거나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들을 위해서는 직접적인 해석이 가능한 단순한 모양의 변기그림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영어 표시를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한글과 그림문자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oilet terms and pictograms recognized by elders living in Seoul and Incheon.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08 elders by individual interviews using questionnaires. Result: As for the name of places for elimination, those elders responded Hwajangsil 88.3%, followed by Byeonso 49.3% and Dwitgan 44.4%. Most elders preferred Hwajangsil as the term indicating the place for elimination. The mean age of the group preferred Buns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preferred Hwajangsil, whereas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in the latter group. Of the 256 respondents, 55% preferred the pictogram of international toilet sign, while 34.8% preferred the pictogram of toilet stool. Those with no formal education tended to prefer the pictogram of toilet stool. Conclusion: The term Hwajangsil is suggested for indicating toilet for elders in general. Other terms familiar with residents need to be investigated in the facilities for elders and those terms should be used in combination with Hwajangsil. English toilet signs alone are not recommended for elders. Simple pictograms of toilet stool is suggested for elders with low educational level. Toilet signs for elders need to include both terms and pictogram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희(Lee, kyung Hee),김정희(Kim, Jung Hee),손영애(Sohn, Young Ae). (2008).경인지역 노인의 화장실 용어와 그림문자 인식. 한국노년학, 28 (4), 1113-1128

MLA

이경희(Lee, kyung Hee),김정희(Kim, Jung Hee),손영애(Sohn, Young Ae). "경인지역 노인의 화장실 용어와 그림문자 인식." 한국노년학, 28.4(2008): 1113-1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