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노인의 건강 문해(Health Literacy)실태와 영향 요인

이용수 1803

영문명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이태화(Lee, Tae Wha) 강수진(Kang, Soo Jin)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8권 4호, 847~863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문해 수준과 이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8년 1월 7일부터 2월 4일 까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411명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일대일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건강 문해 측정 도구는 이태화(2008)가 개발한 한국형 건강 문해 측정 도구를 이용하였다. 이 도구는 이해 및 수리 영역 14문항과 용어 영역 11문항의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자료 분석은 서술 통계, t-test, ANOVA, 문항 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가 160명(39.0%), 여자 250명(61.0%)로 여자 대상자가 더 많았으며, 대상자의 건강 문해 도구의 평균 점수는 총 25점 만점을 기준으로 17.49(±5.73)이었다. 하부 영역별로 살펴보면 이해 및 수리 영역은 8.96(±3.61), 용어 영역은 8.53(±2.83) 이었으며 이것은 문해의 기준인 초등학교 졸업자의 점수에 가까웠고 평균 점수 이하의 응답자는 176명(42.8%)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문해 정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보유 질환수를 제외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동거 유형, 월 소득, 병의원 이용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건강 문해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 수준, 연령, 월소득, 동거 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이 변수들은 건강 문해의 26.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 전문인들은 노인의 보건교육 및 질병관리, 의료이용의 영역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건강 문해 향상 전략을 개발하여 노인의 건강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411 elders who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us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face-to-face interviews by trained interviewers between January, 7 and February, 4, in 2008.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by Korean Health Literacy Scale developed by Lee(2008).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In result, the mean score of health literacy was 17.46(±5.73) with a range of 0 to 25, 42.8% of elderly had limited health literacy problems.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26.5% of variance in health literacy was accounted for by the combination of education, age, living arrangement, and income. In conclusion,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literacy in elderly population in the areas of health education and disease management should be needed to reduce health disparities among elderly.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화(Lee, Tae Wha),강수진(Kang, Soo Jin). (2008).한국 노인의 건강 문해(Health Literacy)실태와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28 (4), 847-863

MLA

이태화(Lee, Tae Wha),강수진(Kang, Soo Jin). "한국 노인의 건강 문해(Health Literacy)실태와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28.4(2008): 847-8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