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비만, 체력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78
- 영문명
- The Effects of 12 Weeks of Circuit Exercise on Obesity,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dex in Elderly Obese Women
- 발행기관
- 한국노년학회
- 저자명
- 김상훈(Kim, Sang Hoon)
- 간행물 정보
- 『한국노년학』제29권 3호, 823~835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비만, 체력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65세 이상 체질량지수 25이상의 여성 자원자 총19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순환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가벼운 유산소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준비운동을 실시 한 후 주 3회의 빈도로 매회 30분씩 12주 동안 순환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12주간의 순환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 참가 전에 비해 참가 후의 체중과 체질량지수(p<.001)가 감소되었으며, 체력측정항목에서 하지근력(p<.001)과 상지 근력(p<.05), 상지 유연성(p<.05)과 하지 유연성(p<.05), 민첩성/동적평형성(p<.001), 전신지구력(p<.05)의 총 6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대사증후군 지표인 복부비만(p<.01), 수축기혈압(p<.05), 중성지방(p<.001), 고밀도 지단백(p<.01), 혈당(p<.05) 등 이완기 혈압을 제외한 모든 측정항목에서도 12주간의 순환운동 후 운동 참가 전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에 있어 체중감소와 체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사증후군 지표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12 weeks of circuit exercise on obesity,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dex in elderly obese women. 19 elderly obese women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nd completed the study. Participants went through their exercise program for 30 minutes per session and 3 sessions per week for 12 weeks. Lower(p<.001) and upper extremities strength(p<.05), upper(p<.05) and lower extremities flexibility(p<.01), agility & dynamic balance(p<.001), endurance exercise capacity(p<.0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s circuit training. Also, Body weight(p<.001), BMI(p<.001) & Metabolic syndrome index as waist circumference(p<.01), systolic BP(p<.05), TG(p<.001), HDL-C(p<.01), glucose(p<.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d between pre and post. It was concluded that circuit exercis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dex in elderly obese wome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치매노인과의 관계개선을 위한 중풍노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사례 연구
- 한국 노인의 행복 요인 탐색과 척도개발
- 미용덤벨 운동이 노인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신체조성,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 about Social Capital on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Koreans
-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비만, 체력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교육정책의 전개와 특징
- 중년층을 위한 웹기반 노년기 준비프로그램의 학습효과
-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비용분석
- 여대생의 노인부양의식과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생활체육참가와 생활만족도 비교
- 노인의 학대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과모형 연구
- 체력과 운동참여가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 결정요인 연구
-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 중ㆍ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상지유연성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 노년담론에 대한 노인의 인식과 대응에 관한 질적 연구
- 장기요양보호 노인 및 부양자특성이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 유형별 가구 내 자살생각 군집화 영향요인 분석
- 디지털정보화 접근수준이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배움터 참여에 따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에 대한 좋은 실천은 가능한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