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격차 문제의 인식 지형과 변화의 전망

이용수 1141

영문명
Prospect on Changes in Recognition on Regional Disparity From Regional Disparity between Young-Honam Region to Regional Disparity between Metropolitan and Mon-metropolitan area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박준식(PARK Joon-Sik) 김영범(KIM Young-Bum)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4권 제2호, 83~103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에서도 경제ㆍ사회 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지역격차 인식의 지형이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에 있다는 것을 지역격차에 대한 의식 조사 분석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지역격차 인식의 지형은 도시와 농촌, 영남과 호남, 수도권과 비수도권 등 다양한 현실적 격차 요인들의 부침과 더불어 지속적인 재편과 사회적 재구성을 경험하고 있다. 70년대까지 도시와 농촌의 급격한 격차가 주된 균열축이었다면, 80년대와 90년대는 영호남 격차가 부각되었고, 최근에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가 새로운 지역 균열의 축으로 전면에 등장하였다. 지역격차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또한 사람들이 어디에 사는가, 그리고 어디로 이동하는가에 따라서도 큰 변화를 보일 수 있는데,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비수도권 정주민과 비수도권으로의 이주민 집단에서 지역격차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이 두드러지게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한편 비수도권이면서 농촌지역으로 이중의 불이익에 직면하고 있는 중층적, 복합적 낙후지역의 문제 또한 지역 균열 문제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본 연구를 통해 지적하였다. 한국사회에서 공간이 사람에게 미치는 정치, 사회 균열과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치 제도와 생활 여건 격차 해소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trial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people's perception on the regional inequalities. Based on the result of national opinion survey, we could identify perceptions of regional fractures are embracing multi-dimension layers depending on the changing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luctuations. People's perceptions on the relative deprivations among regions have undergone with ups and downs of social fault lines reflecting changing differences among regions such as urban vs rural, capital vs non capitan, and Youngnam vs Honam fault lines. During the 70's, the growing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dimensions dominated people's minds, while in the '80s until '90s Youngnam vs Honam overwhelmed our consciousness. The most recent decade has been inundated with conflicts erupting from the capital vs non capital areas. People's perceptions may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spacial choices on where they should live. Recently, people stayed in regions and those moved from capital to regional area are feeling more deprivation than other groups. Those people residing in non-capital and rural areas are the most disadvantaged people who may have to take the double burdens of regional disadvantages. In order to alleviate and overcome regional fractures in Korean society, we may have to take serious reform measures in political institutions and introduce policy options focusing on the fast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for the people keeping their regions despite unwilling misfortunes.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과 방법
Ⅲ. 지역격차의 인식과 지형
Ⅳ. 결론: 사회적 함의와 지역 통합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식(PARK Joon-Sik),김영범(KIM Young-Bum). (2013).지역격차 문제의 인식 지형과 변화의 전망. 지역사회학, 14 (2), 83-103

MLA

박준식(PARK Joon-Sik),김영범(KIM Young-Bum). "지역격차 문제의 인식 지형과 변화의 전망." 지역사회학, 14.2(2013): 83-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