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업률 변동성 및 비대칭성의 요인분해

이용수 310

영문명
Decomposing Volatilities and Asymmetries in Unemployment: the Ins versus the Outs
발행기관
한국계량경제학회
저자명
박강우(Kangwoo Park)
간행물 정보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Vol.25 No.2, 84~11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 데이터를 대상으로 Shimer(2012)의 방법을 적용하여 비관측 실직확률 및 구직확률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업률 변동을 실직확률에 기인한 부분과 구직확률에 기인한 부분으로 요인분해하였다. 실업률 자체의 요인분해와 함께 실업률 변동의 분산(2차 적률) 및 왜도(3차 적률)에 대한 실직확률과 구직확률의 기여율을 산출하였으며 연령별 실업률에 대해서도 동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직확률의 변동성과 왜도가 구직확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실업률과의 동행성도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ㆍ장기적으로는 실직확률과 구직확률 둘 다 실업률의 비대칭성에 상당부분 기여하는 반면, 단기적인 실업률의 비대칭성은 주로 실직확률의 비대칭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업률의 적률요인분해 결과, 변동성은 물론 비대칭성의 측면에서 구직확률보다는 실직확률이 실업률 변동에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기여도의 차이는 실업률 수준보다 단기동학을 반영하는 실업률 변동 분에서 보다 두드러졌다. 넷째, 연령별 실업률의 요인분해 결과, 대체로 연령이 낮아질수록 실업률 변동성 및 비대칭성에 대한 구직확률의 상대적 기여도가 상승했다. 다섯째, 기존 해외 실증연구 결과와 상반되게 우리나라의 경우 구직확률이 실직확률에 선행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본고의 요인분해 결과가 실직확률→구직확률 방향의 내생성에 따른 편의(bias)로부터 비교적 강건함(robust)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Applying Shimer's (2012) measurement method to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1986Q1∼2011Q4) in Korea, we estimate the unobserved job separation and finding rate, with which we decompose unemployment fluctuations into the parts driven by two labor flows: inflows to unemployment( the Ins) and outflows from unemployment(the Outs). Furthermore, we estimat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each flow to unemployment volatility (variance) and asymmetry(skewness), and the same analysis is implemented on unemployment data by ag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volatility and asymmetry of job separation rates predominate over those of job finding rates. Second, while in the medium and long run, both rates contribute remarkably to asymmetric movements of unemployment, the short-run asymmetry in unemployment fluctuations mainly originates from significant positive skewness in job separation rates.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es confirm that in terms of both volatility and asymmetry, inflows to unemployment play a more dominant role in explaining unemployment fluctuations than outflows from unemployment do. Finally, decomposing unemployment rates by age, we find that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job finding rates are inversely related to the ages of the unemployed.

목차

Abstract
Abstract
1. 머리말
2. 요인분해 방법
3. 전체 실업률의 요인분해
4. 연령별 실업률의 요인분해
5. 실직확률과 구직확률 간 관계 및 내생성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강우(Kangwoo Park). (2014).실업률 변동성 및 비대칭성의 요인분해.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5 (2), 84-119

MLA

박강우(Kangwoo Park). "실업률 변동성 및 비대칭성의 요인분해."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5.2(2014): 84-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