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체계적 분류와 조사를 위한 연구

이용수 235

영문명
Elementary Study for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Research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구미래(KOO, Mee-rae)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8호, 363~393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래에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불교무형문화유산을 제대로 보전ㆍ전승하기 위한 현황파악과 체계적인 조사연구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은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체계적인 조사연구와 전승기반 마련을 위해 필요한 선행작업에 초점을 맞추어 다루었다. 이 를 위해 첫째, 기존작업의 점검과 조사연구의 기준으로 삼기 위한 불교무형문화유산의 분류체계를 작성하였다 먼저 대한불교조계 종에서 마련한 ①의례ㆍ의식 ②기예 ③생활관습 ④수행관련 지식ㆍ관습 ⑤구전 전통 및 표현으로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들 각 유형에 따라 대분류와 중분류로 하위체계를 나눈 다음, 실제 주목해야 할 종목대상인 소분류를 이끌어내었다. 둘째, 어떤 대상을 조사할 것인가에 대한 조사기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역사성ㆍ학술성, 예술성ㆍ지역성'이라는 무형문화재 전승종목의 기본가치를 불교무형문화유산의 관점에서 간략히 다루었다. 불교무형문화유산의전승가치란 어떤 종목을 우선적으로 다룰 것인지를 결정하고, 전승주체가 다수인 종목에서 조사대상 또는 등록대상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또한 다양한 불교무형문화를 전승대상의 유산으로 인식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기존의 관점을 점검하고, 전승종목을 재정비하는 데도 필수적인 작업이다. 셋째, 어떻게 조사할 것인가에 대한 실제적인 방법론을 다루었다.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성격을 감안하여, 우선조사종목이 정해진 이후의 실태조사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의 조사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실태조사는 주로 전수조사ㆍ표본조사 등의 일괄조사와, 전승맥락을 뚜렷하게 살펴볼 수 있는 대상들을 선정하여 심층조사를 진행하게 된다. 일괄조사는 종목의 성격에 따라 비교적 단순한 접근패턴이 있어, 여기서는 심층조사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심층조사 또한 유형에 따라 다양한 접근방식이 따르겠으나, 주로 의례ㆍ의식처럼 일정한시 공간에서 행하는 현상을 중심으로 상정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e of interest in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both within the country and abroa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no foundation for systematic research and a general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in order to preserve and pass on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is thesis focuses on the pre-tasks required to set up a foundation for systematic study and a base to pass on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order to do this, a classification system of Buddhist intangible assets has first been created to serve as a base for research and examination of existing progress. The types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asse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with input from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ceremony and service, handicrafts, living habits, knowledge and customs of meditative practice, and oral tradition and expression. This system was further subdivided into higher and middle-level classifications per type. Subjects which presently require the greatest attention were separately classified under their own section. Second, I examine the standards determing which subjects should be looked into for further research. For this, I took the perspective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historicity, scholastic value, artistic value and regional diversity'. The value of preserving a particular asset becomes an important metric to decide which subject should be prioritized, and which subject should be researched and registered when there are multiple subjects that are able to inherit a particular asset. Establishing standards for research and preservation is also a necessary first step in critically reflecting on existing notions that are not used to recognizing various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inheritances that can be passed on, as well as reorganizing the classification of intangible assets. Third, I deal with the actual methodologies of study. Considering the nature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fter the priority research categories are decided, the survey to deter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asset is divided into several steps and the investigation details and methods for each step are described. This survey may be a general survey of samples, which outlines the inheritors of an asset and selects subjects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other hand, detailed survey is reserved for those assets where the lineage of transmission is very clear. Because of the comparatively simple patterns of approach for general surve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et, this paper delves in detail on methodologies of detailed surveys. Although detailed survey methods also may differ, this paper assumes the standard used for events such as ceremonies and services which are held at a certain space and time.

목차

요약문
Ⅰ. 불교무형문화유산의 특성
Ⅱ. 불교무형문화유산의 분류
Ⅲ. 종목의 전승가치로 본 조사기준
Ⅳ. 실태조사의 단계별 내용과 방법
Ⅴ. 또 다른 과제들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미래(KOO, Mee-rae). (2014).불교무형문화유산의 체계적 분류와 조사를 위한 연구. 불교학연구, (38), 363-393

MLA

구미래(KOO, Mee-rae).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체계적 분류와 조사를 위한 연구." 불교학연구, .38(2014): 363-3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