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십중유식설로 보는 법장의 포월논리

이용수 165

영문명
Fazang's Subsume-transcendency Logic in the ten-fold Consciousness-onl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조배균(CHO, Bae-gyu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8호, 257~293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선행연구에서는 법장(法藏)의 십중유식설(十重唯識說)은 규기(窺基)의 오중유식설(五重唯識說)을 원용한 것이라고 한다. 그 명칭과 사유패턴에서 유사성은 인정되지만, 오중유식설과 십중유식설의 의미가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법장이 오중유식설에 착안하여 십중유식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법상유식을 대승시교로 펌하하며 판석하는 연장선 위에서 유심사상(唯心思想) 관련 논의들을 열 가지로 전개하고 있는 것이 법장의 십중유식 논의이다. 볍장의 십중유식설과 같은 화엄교학의 전개에는 당시 경쟁관계였던 법상유식에 대한 강한 견제가 드러 나고 있다. 『화엄경』「십지품」의 "三界虛妄 但是一心作"은 엄밀히 말하자면 유식사상이 아니다. 법장이이를 굳이 '唯識'이라고 명칭하며 주석한 것은 법상유식과 대결할 의도의 표출로 보인다. 십중유식 논의 에서 법장은 대승불교 여러 종파의 심식에 관련한 논의를 중심축으로 자신의 교상판석에 따라 여러 유심사상 관련 논의를 유식사상이라고 명칭하며 화염교학의 법계연기사상을 특별한 최고의 가르침으로 자리매김 시키고 있는 것이다. 법장은 교상판석의 심식설과 연계하여 '一心'을 해석하며 별교일승 법계연기설을 십중유식 논의에서도 구축하고 있다. 별교(別敎)의 측면에서 보면 각 교의 간의 위차가 인정되지만, 동교(同敎)의 측면에서 십중유식 각 단계 하나하나는 '唯識'이라는 공통되는 교의로 묶일 수 있다. "三界虛妄 但是一心作"에 대한 법장의 주석이 십중유식설이고, 이는 『화엄경탐현기』의 분류대로 '-心所攝'의 '集起門'과 관련된 해석이다. 곧 '一心'이 짓는 것이 삼계의 일체 존재와 현상의 모습이라는 것이 십중유식설을 통해 법장이 보이고 있는 것이다. 모든 것을 '一心'이라는 동교로 아우르며 포월(包越)하려는 총체성의 철학이 법장의 십중유식설이다. 사상사적으로 교판과 관련한 법장의 해석학적 전략에 의한 '一心' 이해는 인도불교와는 다른 중국불교의 종파적(宗派的) 사유패턴의 특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on Fazang's 法藏 theory of the ten-fold Consciousnes s-only 十重唯識說 state that Fazang's theory was influenced by Ji's 基 theory of the Five-fold Consciousness-only 五重唯識說. Although they are similar in pattern and name, the meaning of Fazang's and Ji 's theories do not agree with one another. Fazang di sparages Faxiangzong's 法相宗 theory of Consciousness-only in his Classifications of Buddhist Teachings 敎相判釋, Fazang deconstructs accepted notions of Consciousness-only and overlays his own ten-stage mind-only theories on top of this foundation. Fazang's theory of the tenfold Consciousness-only is an analysis on the 'one-mind' 一心 that the triloka is but one-mind '三界虛妄 但是一心作' cited from a verse of the Avataṃsaka Sūtra 華嚴經. Fazang considers mind as vijñāna 識, not citta 心. This is a reflection of his intention to prove the superiority of Faxingzong 法性宗over Faxiangzong 法 相宗. There is also a semantic change in the general meaning of Consciousness-only 唯識. Fazang substantially equates mind-only 唯心 with Consciousness-only 唯識. See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azang's theory of the ten-fold Consciousness-only is a well-structured Consciousness-only theory which is gradually developed according to his Classifications of Buddhist Teachings. In Fazang's theory of Mind-Consciousness 心識說, this Subsume-transcendency relation is established: 'the Ālayavijñāna 阿賴耶識 of Mahāyāna-beginning-teaching 大乘始敎 ⊂ the Tathāgatagarbha 姐來藏 of Mahāyāna-final-teaching 大乘終敎 ⊂ the one-mind 一心of the distinct-one-vehicle-teaching 別敎一 乘.' Huayan thought is a distinct teaching 別敎 which engages all others, and all Buddhist teachings flow from it in Fazang's Classifications. Simultaneously, from another perspective, all teachings can be grouped into a common doctrine in Consciousness-only. Consciousness-only is a common-teaching 同敎in ten different levels. This is Fazang's interpretation on the one-mind from a verse of the A vataṃsaka Sūtra. With regard to Fazang's argument on Mind-Consciousness in the ten-fold Consciousness-only, by his logic it is possible to embrace the classifications of all Buddhist teachings. He intends to prove that Huayan doctrine is the most developed theory that covers any other teachings. Fazang's thought is based on the theory of Mind-only 唯心論, and the one-mind is the matrix on which his thought is founded. Notably, his philosophy demonstrates characteristics of thought unique to Chinese Buddhism.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며
Ⅱ. 심식설 논의로 보는 십중유식
Ⅲ. 법장 십중유식설의 구성과 특색
Ⅳ.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배균(CHO, Bae-gyun). (2014).십중유식설로 보는 법장의 포월논리. 불교학연구, (38), 257-293

MLA

조배균(CHO, Bae-gyun). "십중유식설로 보는 법장의 포월논리." 불교학연구, .38(2014): 257-2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