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 임진왜란 이전에 있어서의 불교식 慰靈과 국가

이용수 525

영문명
Buddhist comfort of the spirit of the dead and the country from ancient times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정영식(Jeong, Young Sik)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39輯, 245~268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시대에 불교가 도입된 이래 戰死者에 대한 위령은 일정부분 승려들이 담당하였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火葬이 성행하였기 때문에 火葬ㆍ拾骨ㆍ埋葬에 있어서 승려의 역할이 증대하였으며, 전쟁과 전염병이 만연하였던 고려중기 이후로는 埋骨儈들이 東西大悲院의 일원으로서 매장과 위령제 거행을 담당하였다. 대표적인 불교식 위령의례로는 八關會ㆍ占察會ㆍ水陸齋가 있는데, 팔관회는 572년 신라에서 전몰장병을 위한 위령제로서 개최되었고, 고려시대에도 개국공신들의 인형을 陳設하여 추도하기도 하였지만 일종의 인형극으로서 연희적 성격이 강한 것이었다. 점찰회는 삼국시대에도 위령제로서 행해졌지만, 특히 고려시대에는 전염병발생의 원인이라고 생각되었던 冤魂을 천도하기 위해 거행되었다. 수륙재는 몽고와의 전투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천도하기 위해 고려후기에 설행되기도 하였지만, 고려에서의 설행사례는 많지 않고 조선시대에 와서 성행하였다. 고려시대까지의 불교식 위령의례는 어디까지나 불교정신에 입각한 '천도의례'였으며, 국가기관에 의해 '지속적이고 조직적으로' 행해진 것은 아니었다. 한식 때 행해진 무연고시신의 유골을 수습하고 재를 지내는 것도 '仁政의 표본'으로서 권장되기는 하였으나, 그것이 매년 정기적으로 또 국가의례로서 행해졌다는 증거는 없다. 특히 충신ㆍ열사 등의 현창을 통해 조정의 정통성을 주장하거나 국가의식을 고취하는 경우는 없었다. 개국공신이나 극가를 위해 사망한 충신ㆍ열사들을 현창하기 위해 표충사를 건립하는 등, 위령내지 천도행위가 국가의식과 결합하는 것은 임진왜란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Buddhist monks took charge of comfort of persons killed in battle to some extent. In particular, since cremation was prevalent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Buddhist monks' roles increased in cremation/bone gathering/grave moving in this period. After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when wars and infectious diseases were prevalent, bone burying Buddhist monks took charge of burial and memorial service holding as members of Dongseodaebiwon(東西大悲院). Representative Buddhist memorial ceremonies include Palgwanhoe(八關會)/Jeomchalhoe(占察會)/Suryukjae(水陸齋), Palgwanhoe was held in 572 in Shilla as a memorial service for fallen soldiers. Although Palgwanhoe was held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too to honor meritorious retainers at the founding of the dynasty by displaying the models of the meritorious retainers, it was a sort of puppet show with a strong nature of a play. Although Jeomchalhoe was held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s memorial service, in particular, it was held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to send to the heaven, revengeful spirits that were thought to be a cause of infectious diseases. Although Suryukjae was held in the late Goryeo Dynasty period too to send to the heaven, the spirits of those who died in battles with Mongol Empire, it was not held frequently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but was prevalen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characteristic of Buddhist memorial ceremonies until the Goryeo Dynasty period was that the government's continuous and systematic acts of comfort of the spirit of the dead royal subjects/patriotic martyrs were rare except for the Palgwanhoe in which meritorious retainers at the founding of the dynasty were honored by displaying the models of the meritorious retainers. Acts of comfort of the spirit of the dead combined with the consciousness of state such as the memorial ceremony for the establishment of Pyochungsa began to appear in earnes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위령의 개념과 전몰자위령
Ⅲ. 위령의례의 종류
Ⅳ 위령과 불교교단 그리고 국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식(Jeong, Young Sik). (2013).고대∼ 임진왜란 이전에 있어서의 불교식 慰靈과 국가. 불교연구, 39 , 245-268

MLA

정영식(Jeong, Young Sik). "고대∼ 임진왜란 이전에 있어서의 불교식 慰靈과 국가." 불교연구, 39.(2013): 245-2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