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日本 壹岐 金谷寺 소장 동조보살좌상 연구
이용수 571
- 영문명
- A Study on Bronze Seated Bodhisattva at 金谷寺(Kinkokzi), 壹岐(IKi) in Japan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저자명
- 정은우(Jung, Eun Woo)
- 간행물 정보
- 『불교연구』佛敎硏究 第39輯, 153~179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일본 지역에 남아 있는 고려후기 이전의 고려시대 불상들은 10점 미만으로 적은 편이다. 그 중 일본의 대마도와 후쿠오카 가운데에 있는 작은 섬인 壹岐 金谷寺(긴코쿠지)에 봉안되어 있는 동조보살좌상은 크기 74.0cm의 큰 규모로서, 1980년(昭和 55年) 2월 29일 長崎(나가사키)현 지정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금곡사 동조보살좌상은 가늘고 긴 신체비례에 이국적인 인상 그리고 신체 전면에 나 있는 작은 구멍들이 특징이다. 제작시기는 긴 신체 비례에 통견식 대의 그리고 옷 자락이 무릎 위에서 삼각형으로 접혀진 점과 얼굴의 특징 등을 고려하면 고려 12-13세기로 추정된다. 이 보살상의 가장 특이한 점은 신체 전면에 퍼져 있는 대략 27-30개 정도의 구멍들로서 크기는 2-4mm정도이다. 이와 같이 신체에 작은 구멍이 있는 불상은 현재 조사된 자료로서는 유일한 작품이다. 이 작은 구멍들을 서로 연결하면 안동 보광사 목조보살좌상이나 대구 파계사 건칠보살좌상의 영락과 같은 모습이 된다. 이는 이 구멍이 원래 영락을 고정했던 흔적일 가능성을 높혀주는 것이며, 이를 입증하는 실제의 영락 장식도 경기도 회암사지 발굴에서 출토된 바 있다. 회암사지출토 영락은 현존하는 보살상의 영락과 세부 장식과도 연관성을 보이는데 회암사의 전성기인 14세기의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따라서 금곡사 보살상과 회암사지출토 장식을 통해 고려시대 보살상의 영락 부착 방식에서 다양한 기법들이 있었음이 확인되며, 이는 고려시대 금속공예의 발달에 기인한 것으로 인식된다.
고려시대 보살상들의 다양한 영락 처리 방식을 통해 보수의 문제도 검토해 보았다. 특히 李㦃의 『龍頭山 金藏寺 金堂主 彌勒三尊 改金記』에 쓰여진 불상의 보수 내용과 현존하는 보살상의 현상을 대조하였다. 그 결과 같은 재질로 이용한 상과 달리 여러 재질을 이용한 제작한 보살상의 경우 계속적인 보수가 있었을 것으로 파악해 보았다.
금곡사 동조보살좌상은 안동 봉정사,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등과 함께 12-13세기를 대표하는 작품이며, 고려시대 영락 장식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경향과 기법을 확인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western Japan area, the number of remaining Buddhist statue of the late Goryeo period could be counted a less likely to nine (9). Among them, a bronze seated Bodhisattva enshrined at Kinkokzi(金谷寺) in Iki Island, a small one in the center of Tsushima(對馬島) and Fukuoka(福岡) in Japan, is as large as 74.0cm and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of Nagasaki(長崎縣) in 29 Feb. 1980(昭和 55年).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enshrined at Kinkokzi(金谷寺) features a long, thin body proportion, exotic impression and small holes on the whole body. Considering long body proportion, clothes covering both shoulders, a hem folded into a triangle above the knee and facial featur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statue is estimated to be 12-13th century in Goryeo dynasty. The most unusual point of Bodhisattva is holes spreaded throughout whole body with around 27-30 holes sized 2-4mm.
The Bodhisattva with small holes in the body is the only work currently investigated as a sourc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small holes, it should look like decorative ornaments(yongrak) of wooden seated Bodhisattva at Bogwangsa(寶光寺) in Andong city or dry lacquer seated Bodhisattva at Pagaesa(把溪寺) in Daegu city. Holes are likely to be the evidence of fixing decorative ornaments(yongrak), and demonstrated the actual decoration of the decorative ornaments(yongrak) which was unearthed in excavations at Hoeamsaji(檜巖寺址) in Kyunggi province.
The decorative ornaments(yongrak), unearthed at Hoeamsaji, seemed to link to the remaining Buddhist statue and detailed decoration, and it might be manufactured in 14th century, the heyday period of Hoeamsaji. Therefore, given the Bodhisattva statue of Kinkokzi(金谷寺) and the decoration unearthed in Hoeamsaji, various techniques in attachment style of decorative ornaments(yongrak) are confirmed in Goryeo period. and is at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etal craft in that duration.
Handling of repair maintenance issue was examined through various processing techniques of decorative ornaments(yongrak) of Buddhist statues in Goryeo period. Especiall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repair contents of Buddhist statue written in 『龍頭山 金藏寺 金堂主 彌勒三尊 改金記』 by Mr. Lee San(李㦃) and existing phenomenon of Bodhisattva, As a result, unlike to the same material, the Bodhisattva with several different material was identified to be experienced continuous repairing maintenance.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at Kinkokzi(金谷寺) along with wooden Avalokitesvara of Bongjeongsa(鳳停寺) and Bogwangsa(寶光寺) in Andong city are representing the work of the 13th century, and are important material confirming colorful and formal decorative trend and techniques of decorative ornaments(yongrak) decoration in Goryeo period.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금곡사 동조보살좌상의 특징과 제작시기
Ⅲ. 금곡사 동조보살좌상의 영락 기법
Ⅳ. 고려시대 영락 부착 방식과 불상의 보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불교학연구 제80호 목차
- ‘연화장세계’에 대한 화엄교학의 해석 - 법장(法藏)과 이통현(李通玄)의 주석을 중심으로
- 『법화현의』권1 「회이(會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유마경현소』 권1 「대사실단(對四悉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