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구유형별 빈곤과 배제의 특성 연구

이용수 1343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by Household Typ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안나(Kim, Anna)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6집 1호, 237~265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제적 결핍에 집중한 빈곤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영역의 결핍과 빈곤 실태를 파악하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활용하여, 우리사회에서 취약가구로 규정되는 남ㆍ여성 한부모가구, 조손가구 및 다문화가구의 가구유형별 빈곤의 특성과 배제 실태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유형별로 차별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빈곤과 배제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들 가구유형들의 다양한 정책적 수요를 예측하는 데 있다. 분석 결과 가구유형별로 상이한 사회적 배제의 수준과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가구유형별로 차별적인 지원정책 전략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조손가구의 경우 대부분의 배제 영역에서 높은 배제의 위험을 보여주고 있어 소득보장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영역에 걸친 조손가구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여성 한부모가구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높은 배제의 위험을 보였는데, 특히 노동에서의 배제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여성가구주의 경제활동 지원을 통한 소득보장이 무엇보다도 시급히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었다. 반면, 남성 한부모가구의 경우 조손가구나 여성 한부모가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사회적 배제의 위험은 낮았지만, 교육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배제의 위험이 높아 이들 가구의 아동에 대한 교육ㆍ보육 지원이 보다 시급히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다문화가구의 경우 관계망에서의 배제 위험이 높게 나타나, 이들 가구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의 사회적 지지 연결망 형성이 중요함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취약가구에 대한 지원이 소득보장 중심의 획일적 지원에서 벗어나, 가구유형별로 상이한 빈곤과 배제의 위험을 토대로 차별화된 정책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raditional definitions of poverty have often been based upon notions of economic deprivation. However, such a economic-centered definition does not account for the potential lack and deficiency in various other social dimensions that can result as an effect of poverty. Therefore, using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this paper look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that occur in households such as single-parent-headed, grandparent-headed, and multicultural households. These households often constitute som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each household group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s based upon the scope and extent of the risk of social exclusion. Grandparent-headed as well as female-headed households showed much higher risk for exclusion in most dimensions examined. While the former group requires social policy supports in most areas, especially income security, higher risk of exclusion from the labor market among female-headed households implies that providing them with adequate job opportunities may be the most important measure for support for them. Male-headed households showed relatively lower risk for social exclusion than the above-mentioned household types; however, they displayed relatively higher risks for exclusion in the area of education. This elucidates how this group requires support for education and childcare more urgently than others. Multicultural households are found to be more frequently excluded from social networks, results which back the policy recommendation to provide this vulnerable group with increased social support networks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 vulnerable households should be tackled by strategic support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ir differentiated risk of social exclusion rather than applying uniform policy measures focused on income security.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자료 및 연구방법 소개
Ⅳ. 경험적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안나(Kim, Anna). (2014).가구유형별 빈곤과 배제의 특성 연구. 가족과 문화, 26 (1), 237-265

MLA

김안나(Kim, Anna). "가구유형별 빈곤과 배제의 특성 연구." 가족과 문화, 26.1(2014): 237-2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