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모가 지각한 장모-사위 관계만족도 연구

이용수 525

영문명
The Study on Mother-in-Law's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전세송(Jeon, Se-Song) 전귀연(Jeon, Gwee-Yeon)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6집 1호, 152~17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모의 입장에서 장모-사위 관계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가족 체계론적 관점에서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 즉, 장모의 개인 변수와 성인자녀와의 관계 변수(사위 관계 변수, 모-녀 관계 변수)로 분류하여 관련 변인들이 장모-사위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장모의 개인 변수가 장모-사위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자아 탄력성, 장모 본인의 결혼만족도를 설정하고, 다음으로 사위와의 관계 변수가 장모-사위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장모-사위 결속도를, 마지막으로 장모와 사위를 이어주는 딸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모녀분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구ㆍ경북 지역의 배우자가 생존해 있고, 한 명 이상의 기혼 딸이 있는 장모 38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단변량분산분석(ANOVA)과 Scheffé의 사후 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모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변수를 이용한 단변량분산분석 결과, 손자녀 양육 도움을 주는 장모의 경우 그렇지 않은 장모들에 비해 장모-사위 관계만족도가 낮았다. 장모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변수, 개인 변수, 사위 관계 변수, 모-녀 관계 변수를 모두 투입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손자녀 양육 도움을 주지 않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접촉적 결속도가 높을수록, 일치적 결속도가 높을수록, '도움 받는' 기능적 결속도가 높을수록, 모녀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장모의 장모-사위 관계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individual and relational variables on mother-in-law's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based on family systems approach. Within the family systems approach,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dividual variables (self-esteem, ego-resiliency, mother-in-law's marital satisfaction), son-in-law related variables(solidarity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and mother- daughter related variables (mother and daughter differentiation). This study surveyed 381 mother-in-laws who married, has one more married-daughters and lived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in-law's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a mother-in-law helps to raise her grandchildren or not. Second,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self-esteem considerably influenced mother-in-law's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regarding the son-in-law-related variables, the ones appreciably affecting mother-in-law's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associational solidarity, consensual solidarity, and functional solidarity of receiving help. Fourth, in terms of mother-daughter related variables, mother-daughter differentiation improved the degree of mother-in-law's relationship satisfac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및 이론적 배경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세송(Jeon, Se-Song),전귀연(Jeon, Gwee-Yeon). (2014).장모가 지각한 장모-사위 관계만족도 연구. 가족과 문화, 26 (1), 152-177

MLA

전세송(Jeon, Se-Song),전귀연(Jeon, Gwee-Yeon). "장모가 지각한 장모-사위 관계만족도 연구." 가족과 문화, 26.1(2014): 152-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