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Ⅰ

이용수 1789

영문명
Portraits of Childless Couples in South Korea Ⅰ: Psychological Well-Being, Couple Relationships,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by Types of Childlessnes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최연실(Choi, Younshil) 성미애(Sung, Miai) 이재림(Lee, Jaerim)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6집 1호, 40~7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무자녀 유형(자발형, 비자발형, 연기형)에 따라 심리적 복지(주관적 행복도, 생활만족도, 자존감, 우울), 부부관계(부부관계 만족도, 부부적응, 별거 혹은 이혼 가능성, 부부 여가시간), 자녀에 대한 태도(본인이 자녀를 원하는 정도, 배우자가 자녀를 원하는 정도, 입양의향, 자녀에 대한 생각, 이상적 자녀수)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결혼한 지 3년이 경과하였고 자녀가 없으며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50세 미만의 남녀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4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Tukey 사후검증, 카이제곱(Χ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자녀 기혼자는 대체로 심리적 복지 수준이 양호하였고, 전반적으로 부부관계가 원만한 편이었으며, 자녀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편이었다. 둘째, 무자녀 유형별로 결혼지속연수, 주관적 건강, 부부소득 적정성, 배우자소득, 종교의 중요도, 맞벌이 여부, 자가 소유 여부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무자녀 유형별로 심리적 복지, 즉 주관적 행복도, 생활만족도, 자존감, 우울은 모두 차이가 있었다. 넷째, 무자녀 유형별로 부부관계 만족도, 부부적응, 별거/이혼 가능성 예측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무자녀 유형별로 본인과 배우자가 각각 자녀를 원하는 정도, 입양 의향, 자녀에 대한 생각, 이상적 자녀수에서 모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무자녀 유형별로 개인적 차원, 관계적 차원, 세대적 차원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도 이러한 유형별 분석이 무자녀 기혼자의 면모를 파악해 가는 데 있어 유용한 접근방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차원에서 무자녀 기혼자에게 접근해갈 때도 그러한 각 유형집단별 내부적 속성의 차이를 중심으로 실천적 개입을 전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sychological well-being, couple relationships,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differed among the three categories of childless married Koreans. The three categories were voluntary, involuntary, and postponing childless groups. In this study, psychological well-being included subjective happines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couple relationships included marital satisfaction, dyadic adjustment, perceived likelihood of separation or divorce, and the couple's leisure time;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included one's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the spouse's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intention to adopt, attitudes toward parenthood, and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Data came from 544 childless Koreans who had been married for at least three years, aged 49 years or younger, and lived in metropolitan Seoul.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chi-squared tes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voluntary, involuntary, and postponing groups. Overall, childless married Koreans reported modestly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couple relationships,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Some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e., years of marriage, subjective health, perceived income sufficiency, spouse's income, religiosity, having dual incomes, homeownership) differed among the three childless group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ubjective happines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the three groups. For couple relationshi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in marital satisfaction, dyadic adjustment, and perceived likelihood of separation or divorce. Finally, for attitudes toward children, we also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one's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the spouse's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intention to adopt, attitudes toward parenthood, and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among the three childless groups. In conclusion, voluntary, involuntary, and postponing childless groups differed in individual, relational, and generational aspects. These findings imply that understanding childless Koreans using the three categories would be a useful approach in future research. We also suggest that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the heterogeneity of the three childless groups in developing public policies and providing services with regards to fertility and childlessness.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연실(Choi, Younshil),성미애(Sung, Miai),이재림(Lee, Jaerim). (2014).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Ⅰ. 가족과 문화, 26 (1), 40-71

MLA

최연실(Choi, Younshil),성미애(Sung, Miai),이재림(Lee, Jaerim).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Ⅰ." 가족과 문화, 26.1(2014): 40-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