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

이용수 685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Cattāro-satipaṭṭhānā (四念處)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임승택(Lim, Seung-Taek)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0輯, 232~27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를 분석ㆍ비교한다. 니까야에서는 지식념과 부정관을 사념처의 세부 항목으로 분류한다. 또한 사념처의 와중에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동시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구사론에서는 지식념과 부정관을 사념처가 아닌 사마타 실천법으로 간주한다. 또한 사념처 자체에 대해서는 위빠사나 일변도의 수행으로 규정한다. 사념처에 관한 두 문헌의 차이는 수행의 위계 문제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대념처경 등의 니까야 문헌에는 사념처를 통해 아라한이라는 궁극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그러나 구사론은 수행의 위계에 대해서는 세부적으로 구분하지만 정작 궁극의 경지에 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삼간다. 따라서 니까야의 사념처와 구사론의 그것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차이가 니까야 내부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사념처관련 경전들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 특히 대념처경의 사념처는 니까야 도처에 산발적으로 묘사되는 잡다한 부류의 실천 유형을 총괄하는 성격을 띤다. 구사론의 사념처는 이러한 분위기가 아비달마 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지는 가운데 구체화된 것으로 보인다.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의 변용은 아비달마라는 시대적 과제를 반영하면서 전래의 가르침을 재해석해 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two class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四念處),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which separately appear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In Nikāyas, Ānāpānasati(持息念) and asubha-bhāvanā(不淨觀) are classified as the detail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But Abhidharmakośabhāṣya considers both of them as Samatha(止) which is the opposite practice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called vipassanā in Buddhist tradition. This means that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Abhidharmakośabhāṣya are one-sided practices which exclude ānāpānasati and asubha-bhāvanā. At this point,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take different positions. The differences of opinions on cattāro-satipaṭṭhānā betwee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become even more striking in the theories of the states that one could arrive at with the practic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Nikāyas say that we could reach the ultimate state of arhat(阿羅漢) with cattāro-satipaṭṭhānā. But Abhidharmakośabhāṣya refrains from those kinds of comments on this issue in spite of the detailed descriptions about the states that one could arrive at with the practice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In this way, the cattāro-satipaṭṭhānā which appeared in Nikāya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look completely different. But I believe that both of them have common purposes to inherit the teachings of Buddha from their own points of view.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say that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Nikāyas could be regarded as the origins of cattāro-satipaṭṭhānā of Abhidharmakośabhāṣya. It is because the former were compiled earlier in time than the latter. I think that the transformations which we can find in Abhidharmakośabhāṣya are the results of re-interpretation reflecting the new period called Abhidharma.

목차

국문 요약
Ⅰ. 시작하는 말
Ⅱ. 니까야의 사념처
Ⅲ. 구사론의 사념처
Ⅳ. 구사론의 사념처와 수행의 위계
Ⅴ. 니까야와 구사론의 사념처 비교
Ⅵ. 마치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택(Lim, Seung-Taek). (2013).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 보조사상, 40 , 232-270

MLA

임승택(Lim, Seung-Taek).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 보조사상, 40.(2013): 232-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