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가족 미취학자녀의 보육ㆍ교육서비스 선호요인 비교분석

이용수 292

영문명
A Comparison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Child-care and Preschool Servi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preschooler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김수봉(Kim, Soo-Bong) 심옥수(Shim, Ok-Su)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7권 제3호, 182~20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미취학자녀의 보육ㆍ교육서비스 시설 이용 여부 및 선호요인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구성원의 사회적응을 위한 대안 모색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2009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다문화가족 미취학자녀 29,543명으로 로지스틱회귀모형을 구축하여 보육ㆍ교육서비스 이용 여부와 선호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미취학자녀의 보육ㆍ교육서비스 시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결혼이주여성의 연령과 국적, 한국어 능력, 거주기간, 경제활동, 자녀의 출생 순위, 건강상태, 생활만족도, 동거 성인 수, 가구생활수준, 배우자 동거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이 이용하는 보육ㆍ교육서비스 중 상대적으로 유치원을 선호하는 경우는 다문화가족 미취학자녀가 둘째 또는 셋째이거나,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중국(한족 등), 학력이 높은 경우인 반면, 학원을 선호하는 경우는 동부지역 거주, 거주기간이 길수록, 국내가족의 생활수준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학원을 선택하였으며, 어린이집(보육시설)은 결혼이주여성이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기능 및 역량강화를 위한 가족단위의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is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election of child-care and preschool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For this study, analyzed from the first countris survey data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onducted in 2009. The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factors on the choice of child-care and preschool facilities are age, country of immigrant, ability of korean, residential period, economic activities, health state, birth order of kinder(second kinder), number of adult in family, spouse, satisfaction of life, and level of life.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considerations for the child-care and preschool. First, the factors of selecting kindergartens were second or third kinder, family income, chinese(hangog), and education level. Second, the factors of selecting private institutes(hakwon) were residential district, residential period, perception level of life in Korea. Third, the immigrant take part in economic activities, they prefer chilid-care facilities to kindergartens or for-profit private institutes(hakwon). In conclusion, we need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child-care facilities that reflected on the personalized service. Above all, soci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d be improv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봉(Kim, Soo-Bong),심옥수(Shim, Ok-Su). (2013).다문화가족 미취학자녀의 보육ㆍ교육서비스 선호요인 비교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 (3), 182-203

MLA

김수봉(Kim, Soo-Bong),심옥수(Shim, Ok-Su). "다문화가족 미취학자녀의 보육ㆍ교육서비스 선호요인 비교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3(2013): 182-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