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xporting, Employment, and Skill Upgrading - Evidence from Plant Level Data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

이용수 187

영문명
수출과 고용 및 기술숙련도 간의 관계: 한국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발행기관
한국경제발전학회
저자명
한진희(Chin Hee Hahn) 박창균(Chang-Gyun Park)
간행물 정보
『경제발전연구』經濟發展硏究 第19卷 第2號, 23~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조업 부문에서 수출이 노동의 기술숙련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두 가지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실증적 발견들이 기존의 연구에 비하여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기존의 관련연구에서 활용된 적이 없는 새로운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종사자 5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매년 수행되고 있는 『광업제조업 동향조사』의 미시자료 중 1990년부터 1998년까지의 제조업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경제발전과 산업구조 변화에서 수출의 중요성이 한국경제 만큼 부각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는 측면에서 유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한 외국의 선행연구에 비하여 수출과 기술숙련도 간의 관계가 좀 더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90년대에 걸쳐 제조업 노동시장에서 발생한 변화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1990년대에 걸쳐 개별 사업장 단위에서는 물론 산업별로 고용 규모나 지불된 임금 총액의 측면에서 제조업 전체에서 비생산직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상당한 정도의 기술 숙련도 향상이 발생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둘째, 수출업체와 비수출업체 간에 기술숙련도 구성 변화의 원인에서 상당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출기업의 경우 숙련노동의 고용과 임금 비중 증가는 비수출기업의 경우 사업체 또는 산업 간 노동력 이동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나 수출기업의 경우 산업 또는 사업체 내부의 노동력 재배치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간단한 축약형 회귀분석을 통하여 수출이 기술숙련도 향상을 촉진한다는 간접적인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JEL: F12, F14, F16

영문 초록

We examine the role of export in skill upgrading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during 1990s utilizing a unique panel data set with rich information on all individual plants employing five or more workers. Considering the vital role of export in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 changes in Korea, we believe that Korean experiences may offer an excellent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export on labor market. Three interesting changes in Korean labor market for manufacturing sector were identified. First, a significant degree of skill upgrading seems to have occurred during l990's. Two indicators of skill composition, the ratio of non-production workers to total manufacturing employment and proportion of wage bill paid to non-production workers out of total wage bill, increased in a considerable degree both at industry and individual plant levels. Second,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possible sources of changes in skill composition we found that there had been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exporters and non-exporters. While majority of between changes in employment and wages of skilled labor could be attributed to non-exporters, most of within changes were explained by adjustment of labor force by exporters. Third, regression analysis offers even stronger evidences to indicate that export stimulated skill upgrading process. Both within and between components of skill composition changes are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porting activities. We believe that these findings bear important implication on Korean labor market(JEL: F12, F14, F16).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Empirics on skill upgrading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in 1990’s
Ⅲ.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진희(Chin Hee Hahn),박창균(Chang-Gyun Park). (2013).Exporting, Employment, and Skill Upgrading - Evidence from Plant Level Data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 경제발전연구, 19 (2), 23-49

MLA

한진희(Chin Hee Hahn),박창균(Chang-Gyun Park). "Exporting, Employment, and Skill Upgrading - Evidence from Plant Level Data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 경제발전연구, 19.2(2013): 2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