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생산적 전환 과정 속의 농촌지역 결혼이주자의 생산/재생산 활동

이용수 624

영문명
Women Marriage Migrants and the Reproductive Tum in Global Capitalism: How Women Marriage Migrants Participate in the Social Production and Reproduction Spheres in Rural Korea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김현미(Hyun Mee Kim) 류유선(Yu Seon Yu)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30집 2호, 63~9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농촌 여성이주자들의 일상성, 특히 생산과 재생산 영역에의 참여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재생산적 전환과정'의 맥락 속에서 이주자가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다양한 노동의 의미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기초 자료는 2011년 1월부터 8월까지 부여군에서 실시한 현지조사와 12명의 결혼이주여성과 3명의 선주민 가족에 대한 심층면접이다. 부여의 인구학적 변화와 이주자의 유입방식, 농업형태의 변화가 가져오는 농촌사회의 정치ㆍ경제적 변화의 구조 속에서 여성이주자들의 일상을 분석한다. 여성이주자들은 이주 후, 출산 및 육아와 살림을 포함한 가족 만들기, 한국어 수업과 며느리 되기 등을 포함한 한국화에 대한 요구 및 농업 및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중층적 요구를 조정하며 나름의 이주 목적을 현실화시키고자한다. 이는 여성이주자를 결혼이주자와 노동이주자로 구획하여 대상화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여성이주자가 생산과 재생산의 회로 안에서 중층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자신의 라이프사이클 안에서 위치를 끊임없이 변화시켜내는 존재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여성이주자의 역할이나 정체성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농촌의 생산/재생산 과정에 편입되거나 변형을 만들어내고 있는 과정에서 구성되는 것임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As global changes continue to occur in the reproduction system, intimate realms such as child-bearing, nurturing, and caretaking are being released from the private sphere and being given exchange value. International marriage as one form of the reproductive migration exposes migrant women to diverse definitions and performances of conjugal roles.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how migrant women are positioned in the spheres of social production and reproduction in rural Korea today and how they are reaping the material fruits of their labor. Based on nine months of fieldwork in Chungnam Province's Buyeo district in 2011,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2 marriage migrant women and 3 Korean husbands, this article shows how migrant women maneuver their way through the complicated and contradictory demands of having to give birth, performing domestic dutie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participating in agricultural labor. While they live between the strata of reproductive and productive labor networks and within their own changing life cycles, migrant women who already work as fulltime housewives and farmers also enhance their economic resources as daily laborers. This article shows how migrant women navigate various life strategies to make their lives more bearable and comfortable in South Korea's rural areas.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 제기
Ⅱ. 분석개념: 사회적 재생산의 노동과정화
Ⅲ. 연구 지역 및 연구 대상자
Ⅳ. 일상성의 구성: 전업주부-노동자-학습자의 삼중적 역할회로
Ⅴ. '핵가족화'와 세대간 협력을 통한 가족 경영
Ⅵ. 정착의 의미: 동반자적 관계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미(Hyun Mee Kim),류유선(Yu Seon Yu). (2013).재생산적 전환 과정 속의 농촌지역 결혼이주자의 생산/재생산 활동. 여성학논집, 30 (2), 63-93

MLA

김현미(Hyun Mee Kim),류유선(Yu Seon Yu). "재생산적 전환 과정 속의 농촌지역 결혼이주자의 생산/재생산 활동." 여성학논집, 30.2(2013): 63-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