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세기 후반 순천부 농민의 존재양태와 농업경영

이용수 322

영문명
The Life Aspect and Agricultural Management of Farmers in Suncheonbu(順天府) in the Late 18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허원영(Heo, Won-you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47집, 43~85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順天府西面家座冊』을 통하여 영조말년인 1774년 경 순천부 서면을 배경으로 살아간 사람들의 호구와 농업경영을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이는 조선후기 농민의 존재형태와 농업경영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함과 더불어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모습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우선 호의 규모와 구성 및 경제상황을 가족 구성원의 신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성원 규모와 구성 및 거주 가옥의 경우 신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신분이 높을수록 호와 가옥의 규모가 커지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경향을 보여준다. 반면 노동력의 측면에서는 가족노동력을 기본요소로 한 위에서 추가되는 노동력이 신분에 따라 다소 다게 나타난다. 양반A의 경우 노비•고공 등 예속인의 노동력이 상대적으로 우세한데 반해, 양반B에서는 소와 말 등 축력의 비중이 보다 높게 나타난다. 우마는 평민에 있어서도 3호당 1필꼴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농업경영 현황을 보면, 우선 농지상황은 답이 전의 3배를 넘어서는 속에서 75%가 자작지일 정도로 자작경영이 우세하였고, 병작경영은 답에서 활발하였다. 경작전답의 규모와 성격도 신분과 상당한 관련성을 보여준다. 신분이 높아질수록 경지면적이 넓어지는 것은 물론, 병작지에 비해 자작지의 면적이, 전에 비해 답의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경작 규모에 따른 부농-중농-소농-빈농에 따른 계층별 분포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자작지와 병작지가 상호 보완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부농의 경우 양반A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양반B와 평민에서도 다수 존재했다. 부농에는 자작지만을 경영하고 있는 “지주형 부농”이 많았다. 그러나 자작과 병작을 겸영하거나 병작경영만을 하고 있는 “경영형 부농”도 상당수 존재하였고, 일부는 광작경영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당시 순천부 서면의 농민 중 1/3은 빈농 또는 무농이었다. 이들 빈농과 무농들은 생활 전반에 있어 열악한 조건에 놓여 있었고, 자신들의 노동력을 타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생계를 유지하거나 보완해 갔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Hogu(戶口) and the agricultural management of the people in west of Suncheon area shown in 『Suncheonbuseomyeon-gajwachaek』 of 1774. It aims to specify exactly how the farmers of the late Choseon Dinasty exist and they manage their farm. First, we analyze the family members and their economic condition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The scale and composition of the family members and their residential house proved to have much to do with the social status. The higher their social status, also the bigger the scale and their residential house of the family members and the more complicated the family members. On the contrary, in terms of labour it shows a different pattern. Yangban-A is superior in a dependent human labour force such as slaves and farmhands while Yangban-B is superior in an animal power such as horses and cows. Every three houses of common people possess a horse and a cow. Regarding agricultural management, the rice paddy is three times as large as the field in farmlands. Most of the farmlands up to 75% are managed in way of self-sustenance while fields of ordinary crops. The scale and feature of farmland proved to have much to do with the social status. The higher their social status, the bigger the scale of the cultivated acreage. Also the area of farmlands managed in way of self-sustenance increases compared to that of fields of ordinary crops, and the area of the rice paddy increases compared to that of fields. The class such as rich farmers, middleclass farmers, small farmers and poor farmers is even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scale of areas under cultivation. Rich farmers are relatively more found in Yangban-A, and they are also distributed in Yangban-B and common people. While rich farmers mostly manage their own farmland there exist a number of rich farmers that manage fields of ordinary crops or combine the management of both sides. In those days, one third of farmers in west of Suncheon area belong to either poor farmers or farmhands. In poor conditions they seemed to earn their living by providing their labour to others.

목차

Ⅰ. 서론
Ⅱ. 농민의 존재양태
Ⅲ. 농업경영의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원영(Heo, Won-young). (2013).18세기 후반 순천부 농민의 존재양태와 농업경영. 역사문화연구, 47 , 43-85

MLA

허원영(Heo, Won-young). "18세기 후반 순천부 농민의 존재양태와 농업경영." 역사문화연구, 47.(2013): 4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