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의 자기의식과 자기개방의 심리적 성과

이용수 576

영문명
Self-Consciousness and Self-Disclosure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Psychological Outcomes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이규동(Lee, Gyudong) 이재은(Lee, Jaeeun) Clive Sanford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1권 제1호, 49~63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0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사람들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통해서 쉽게 자신을 표현하고 상호 교류를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긍정적인 성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적/공적 자기의식과 자기개방이 주관적인 안녕감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연구설계 및 방법론: 저자들은 두 단계에 걸친 설문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자기의식 및 성격 차원에 대한 문항들을 답변하였다. 2주 후에 해당 참여자들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사용과 관련한 설문 및 인구통계 정보에 응답하였다. 설문은 300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연구 결과, 자기개방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대한 애착과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통한 자기개방은 삶의 만족, 긍정 정서 및 주관적 안녕감과도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사적 자기의식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대한 애착과 부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사람들은 대인적 목적 달성을 위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사용하며, 그 결과 자신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인터넷을 통한 자기표현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정책 결정자나 기업 실무자들은 안전하고 편리한 수단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 사용한 행복에 대한 쾌락적 측면과 달리, 의미, 자아실현, 자기 수용 등과 같은 유대모니아적 행복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공헌점: 본 연구는 정보기술의 사회적 사용을 긍정심리학적 관점으로 재조명했다. 이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대한 애착 현상과 주관적 안녕감을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Although people easily express themselves and interact with others through social network sites (SNSs), research on the positive outcomes of using SNSs is insufficient.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acts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elf-disclosure on subjective well-being. and on attachment to social network sites. Design/methodology/approach: A survey method was used. During the first stage of this survey, participants completed a test of their self-consciousness and personality dimensions. Two weeks later, they participated in another survey where they answered SNS-related questions. In this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usage period of SNSs, the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ir SNSs, and other demographic variables. Three hundr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large university in South Korea. Results/findings: The results indicate that self-disclosing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to attachment to their social network sites. Private self-consciousness, however, has a negative impact on attachment to social network sites. Self-disclosing on social network sit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and aggregated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use SNSs for interpersonal purposes, and thereby increase their subjective well-being. Thus,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should provide safe and convenient methods to foster this kind of self-revealing behavior on the Internet. Future work/research: Unlike hedonic aspect in this paper, an examination of the eudaimonic approach to happiness, which focuses on meaning. self-realization, and self-acceptance, is required. Originality/value: We revisit the social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from a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and explain attachment to SNSs and subjective well-being.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hypotheses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규동(Lee, Gyudong),이재은(Lee, Jaeeun),Clive Sanford. (2013).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의 자기의식과 자기개방의 심리적 성과. 상품학연구, 31 (1), 49-63

MLA

이규동(Lee, Gyudong),이재은(Lee, Jaeeun),Clive Sanford.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의 자기의식과 자기개방의 심리적 성과." 상품학연구, 31.1(2013): 49-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