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유치원교육요령에 나타난 환경구성의 변천

이용수 553

영문명
The Transition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 in the Japanes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Guidelines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임지연(Lim, Ji-Yeon)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3권 제4호, 249~27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의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가이드라인인 유치원교육요령에 나타난 환경구성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한 것이다. 일본의 유치원교육요령은 환경구성의 방식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되었다. 제1기 ’56년판과’64년판 유치원교육요령에서는 주제와 단원에 따라 선정·배열된 ‘바람직한 활동’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구성에 주력하였다. 제2기 ’89년판 유치원교육요령에서는 유아가 주체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환경의 중요성을 제창한 ‘환경을 통한 교육’의 이념이 도입되면서 유아의 생활의 맥락을 따르는 환경구성에 주력하게 되었다. 제3기 ’98년판과 현행 ’08년판 유치원교육요령에서는 환경구성에 대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이 강조되었고, 유치원을 거점으로 교사, 부모, 지역사회가 협력하는 유아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환경구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 유치원교육요령은 첫째, 유아가 자발적, 주체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고, 둘째, 유아의 주체성을 강조한 환경구성은 생활의 맥락을 중심에 둔 교육과정체계를 토대로 구현되고 있으며, 셋째, 풍부한 관계성을 확보한 환경을 중시하며, 넷째, 환경구성자로서의 유아교사의 전문적 역량에 의존하는 특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the environmental organization in the Japanes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guidelines, Course of Study for Kindergarten(CSK). The study reveals that the transition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 in CSK has gone through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based on the 1956 and 1964 edition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organized according to desirable activity selected and arranged by theme. The second phase, based on the 1989 edition, promoted the idea that children should subjectively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 organized according to children’s life-context. The 1998 and 2008 editions emphasized on the teacher’s role as manager of environment. In addition, the organized environment focused on constructing the cooperative network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Three implicit points were found. Firstly, the two important keys for organizing environment are providing abundant relationships and securing children’s autonomy to interact. Secondly, structure of curriculum is a main factor in determining the feature of organized environment. Thirdly, the capability to organize environment subjectively is a crucial par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contemporary society.

목차

< 요약 >
Ⅰ. 서 론
Ⅱ. 유치원교육요령의 개정 과정
Ⅲ. 유치원교육요령의 환경구성의 변천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연(Lim, Ji-Yeon). (2013).일본 유치원교육요령에 나타난 환경구성의 변천. 비교교육연구, 23 (4), 249-274

MLA

임지연(Lim, Ji-Yeon). "일본 유치원교육요령에 나타난 환경구성의 변천." 비교교육연구, 23.4(2013): 249-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