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공동체: 사회적 공간 및 친교 담론적 접근

이용수 906

영문명
Learning Community: Discussion on Social Space and Intimacy -Based on Theory of Georg Simmel-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이병준(Yi, Byung-Jun) 장소은(Jang, So-Eun)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7권 제2호, 123~13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학습공동체 논의를 Simmel이 제시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과 친교 담론의 관점으로 확장시켜 이해하고자 한다. Simmel은 근대도시의 사회적 공간을 지리적 공간의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경계를 설정하고 이 사회적 공간경계내에서 인격이 발달하고 진정한 자아의 상호작용 관계가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Simmel은 순수한 상호작용의 형식인 친교속에서 개인이 자유로운 자아의 본질을 추구하고 인격적 교류가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따라서 Simmel의 친교개념을 학습공동체연구의 토대로 설정할 경우 기존의 학습공동체가 가지는 규범적 전제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Simmel의 입장을 수용하면 사회적 상호작용과 친교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학습공동체 이해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Simmel의 이론을 수용할 경우 친교가 활성화된 공동체가 학습공동체이다. 특히 Simmel은 학습공동체가 필요한 시대적 진단을 함께 하면서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의 균형을 가지려는 호모 듀플렉스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사회적 공간의 친교형식을 학습공동체로 이해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학습공동체는 구성원의 자율적 참여와 자유로운 상호작용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며 친밀한 유대감에 의하여 결합되는 친교의 공간 다름아닌 것이다. 따라서 자아상실과 사회적 결속이 결핍되고 있는 현대도시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적 공간인 친교의 관점에서 학습공동체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earning community in terms of spacial concept of social interaction in modern city and intimacy form suggested by G. Simmel. He thinks that the social space of modern city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regional space, but should be a place where social space is classified around the boundary between individual interactions and where personality develops and interactions between true egos take place in the boundary of social space, He also claimed the form of pure interaction where individuals pursue the nature of free ego and where personal communications take place to be intimacy. In this aspect,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of modern society, the aim of the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to apply the social space where social interactions take place to the learning communit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fre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e learning community. Also, since it is the space united by close intimacy, the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the need of the learning community as intimacy form which is the social space of modern city where egos are lost and social unity is lacking.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학습공동체 담론
Ⅲ. G. Simmel의 사회적 공간과 친교 담론
Ⅳ.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과 친교 관점에서의 학습공동체연구의 새로운 접근 가능성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준(Yi, Byung-Jun),장소은(Jang, So-Eun). (2013).학습공동체: 사회적 공간 및 친교 담론적 접근. 교육사상연구, 27 (2), 123-137

MLA

이병준(Yi, Byung-Jun),장소은(Jang, So-Eun). "학습공동체: 사회적 공간 및 친교 담론적 접근." 교육사상연구, 27.2(2013): 123-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