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자의 『도덕경』에 담긴 '무(無)'의 교육적 함의

이용수 886

영문명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Nothingness' in Lao-tzu(老子)'s Tao Te Ching(道德經)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송도선(Song, Do-Seon)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7권 제2호, 95~12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경』에 나타난 '무(無)'의 개념을 탐구하고, 그 속에 담긴 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데 있다. 노자에게서 도(道)는 무한성, 무작위성, 무규정성, 세 가지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으며, 이들을 관통하는 개념은 '무'이다. 첫째, 노자에게 있어 도는 형이상학적인 개념으로서 만물 속에 내재한 보편 원리이고, 만물을 생성하고 육성하는 작용을 한다. 그 속에는 무와 유가 뒤섞여 있고, 끝없이 작용하는 운동성을 가지고 있어 그 한계를 알 수 없다. 결국 도는 '무한성'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노자는 도에 깃들어 있는 '무위자연'을 인간이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로 간주하고 있다. 그는 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순리, 낮춤, 유약함을 가진 물(水)을 예시한다. 그리고 노자는 배움과 유가에서 중시하는 인ㆍ의ㆍ예는 모두 자연의 순리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비판하였다. 따라서 노자에게서 도는 '무작위성'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노자에게 있어 도의 본성은 특정한 모양이 없이, 자유롭게 만물을 두루 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에 대한 그 어떤 묘사도 그 본질을 제한하고, 실제 본질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한다. 따라서 노자는 언어, 이름, 지식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결국 도라는 것은 '무규정성'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자가 무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비유로 사용한 빔, 통나무, 갓난아이 등의 공통적인 의미는 '가능태'이다. 이것은 교육학적으로는, 듀이의 '미성숙' 개념에 담긴 의미와 같이, 아동의 '잠재가능성'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무의 가능태는 그 자체로도 가치 있고, 작용을 일으키는 효용 가치도 갖고 있다. 따라서 채움과 전문성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의 교육 실태는 노자 사상과 상반된 것으로, 근본적인 고민과 반성의 여지를 던져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Tao Te Ching(道德經) by searching for the concept of 'nothingness' within the book. The Tao(道) in Lao-tzu(老子) is considered at three dimensions-infinity, in-artificiality, non-regulation. First, Tao of Lao-tzu is metaphysical concept that is an universal principle in all things. It works on all things to be created and to be promoted. In Tao, 'nothing' and 'something' is mixed together and there exits infinitive mobility, which makes it limitless. Therefore, Tao is characterized by infinity. Second, Lao-tzu thinks 'Wuwei-Ziran(無爲自然)'. He exemplifies the water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ways of nature, taking down, weaknes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o. Thus, the notion of the nothing is considered that it implies in-artificiality. Third, the nature of the Tao of Lao-tzu has no specific shape and it freely operates on all things. Accordingly, any descriptions of the Tao restrict the essence. Thus, Lao-tzu has negative attitude toward language, name, knowledge. Eventually, it proves the Tao of Lao-tzu features non-regulation. Finally, the common meaning of the metaphors used to explain idea of nothing are void, a log, infant is dynamis. This is pedagogically interpreted as potentiality of children. The potentiality of nothing is valuable itself and has the effective value. The actual condition of modern education which features filling up and specialization is opposed to the Tao of Lao-tzu.

목차

<요약>
Ⅰ. 서언
Ⅱ. 무한성으로서의 무
Ⅲ. 무작위성으로서의 무
Ⅳ. 무규정성으로서의 무
Ⅴ. 무의 교육적 함의
Ⅵ.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도선(Song, Do-Seon). (2013).노자의 『도덕경』에 담긴 '무(無)'의 교육적 함의. 교육사상연구, 27 (2), 95-122

MLA

송도선(Song, Do-Seon). "노자의 『도덕경』에 담긴 '무(無)'의 교육적 함의." 교육사상연구, 27.2(2013): 95-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