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이용수 3579

영문명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Multi-level SEM Analyse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이현숙(Hyun Sook Yi) 신진아(Jin Ah Shin) 김경희(Kyung Hee Kim)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2호, 477~50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학생 및 학교수준 변인들 간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다층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학생수준 변인으로는 부모의 학력, 학교생활 적응, 부모자녀 관계, 학업적 효능감, 교과에 대한 태도, 수업태도 등을 고려하였으며, 학교수준에서는 학교장의 교수지도성과 교사의 효능감 및 직무만족, 학교풍토 등을 고려하여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설정된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생수준에서는 평소 부모와의 관계가 좋고 많은 대화를 나누며,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학생일수록 학업적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학업적 효능감은 단일변수로서 학업성취에 대한 예측력이 가장 높았으며, 직접 효과뿐 아니라 교과에 대한 태도 및 수업태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성취를 향상시키기도 하였다. 반면, 교과에 대한 태도 및 수업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 및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학교급 및 교과별로 학력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한편 학교수준에서는 교장이 수업 및 학급경영에 중점을 두는 학교일수록 바람직한 학교풍토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람직한 학교풍토가 조성된 학교일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이 학업성취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남에 따라 교사의 특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조명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and school-level context variable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multi-level SEM analyses. Student-level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 parents’ education level, school adjust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student’s academic efficacy, attitudes toward subject matter, and attitudes in class. School-level variables includ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school clim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t the student level, students who have goo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adjust to school tend to have higher academic efficacy, which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both directly and through the attitudes in class or attitudes toward subject matters. At the school level, schools with principals who give more focus on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tend to have favorable school climate,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non-signific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suggests the need for more in-depth research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숙(Hyun Sook Yi),신진아(Jin Ah Shin),김경희(Kyung Hee Kim). (2013).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26 (2), 477-506

MLA

이현숙(Hyun Sook Yi),신진아(Jin Ah Shin),김경희(Kyung Hee Kim).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26.2(2013): 477-5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