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로벌 시대의 트랜스이주와 장소의 재구성

이용수 1262

영문명
Reflections on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of Cultural Geography on Transmigration and Place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이영민(Youngmin Lee)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5권 제1호, 47~6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글로벌화의 확산과 맞물려 국경을 뛰어넘는 이주가 전례없이 대규모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그들 이주자들의 이주 목적과 과정은 과거의 이주자들과는 사뭇 다르며, 따라서 그 변화된 의미를 수용하기 위해 트랜스이주(자)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트랜스이주에 따라 장소가 어떻게 변하고 있으며, 트랜스이주와 장소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어떤 관점과 어떤 방법이 적실성을 갖는지를 논하고 있다. 글로벌화를 ‘흐름의 공간’으로 간주하여 초국가적, 탈영토적 네트워크의 역동성을 탐구하고자 했던 비장소적(ungrounded) 연구 조류는 이제 ‘장소의 공간’의 관점에서 관계적 구성물로서의 로컬과 장소의 특성을 밝히고자 히는 장소적(grounded) 연구로 발전하면서 재영토화에 주목하는 새로운 연구 조류로 거듭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초국가주의와 트랜스이주 논의가 지녔던 방법론적 국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여, 즉 거대담론으로서의 지구적 논의를 극복하여 이주자의 주체성에 주목하고 관계적 공간으로서의 로컬리티로 회귀한다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주자들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초국가적 네트워크는 여러 장소들을 연결시켜 주면서 독특한 로컬리티를 만들어간다. 트랜스네트워크와 로컬(리티)가 결합된 트랜스로컬리티 개념은 방법론적 국가주의를 보완하여 특정 지점의 장소성과 문화혼성성을 밝히는 데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Recent decades have seen the wide spread of transnational migration on an unprecedentedly large scale with globalization progressing. The transmigran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past international (im)migrants in terms of the aims and processes of migration cross-over national boundar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place has change according to the transmigration, and seeks for the relevent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the research on the interplay of transmigration and place. There has been widely accepted the ungrounded research frame focusing on the dynamics of transnational and deterritorialized network spaning over the global 'space offlow'. And also new grounded research frame has broadly being emerged with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nd place as a relational construction based on the reterritoiralization of 'space of place'. This new frame suggests many supplement points in terms of redrawing on migrant's subjectivity and returning on locality as relational space, and thus getting over the limits of the existing methodological nationalism on the research on transnationalism and transmigration. The concept oftranslocality combining trans-network and locality could be wisely applied on the research on relational place and cultural hybridity on a particular site on which transnationality is grounded.

목차

요약
Abstract
1. 들어가는 말
2. 장소와 이주: 문화적 질서와 지리적 경계의 재구성
3. 장소를 구성하는 글로벌과 로컬의 변증법적 관계
4.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 연구: ‘방법론적 국가주의’ 비판
5. 트랜스로컬리티와 혼종적 정체성 : 장소로의 회귀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민(Youngmin Lee). (2013).글로벌 시대의 트랜스이주와 장소의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25 (1), 47-62

MLA

이영민(Youngmin Lee). "글로벌 시대의 트랜스이주와 장소의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25.1(2013): 47-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