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행기 사용 시 보행기의 높이가 주관절 신전근 활성도와 에너지소모지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8
- 영문명
- The Effects of Walker Height on Muscle Activity in the Elbow Extensor and Energy Expenditure Index During Ambulation With Walker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영록(Young-rok Lee) 김택훈(Tack-hoon Kim) 노정석(Jung-suk Roh) 신헌석(Heon-seock Cyn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3권 제2호, 35~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walker provides stability for walking for people whose lower extremities are disabled. It is important to measure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height of a walker to conserve energy and to improve fun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walker height and gait velocity on triceps, latissimus dorsi muscle activation, and energy expenditure index (EEI) during ambulation with a walker. Fifteen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signed a walker with one of three heights (high, standard, lower height) and of two gait velocities (comfortable gait velocity or fast gait velocity). Electromyographic data were collected from triceps and latissimus dorsi, and EEI was determined from each condition. Two-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ost hoc comparison was performed with the Bonferroni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VIC of triceps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MVIC of dominant triceps brachii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ho used the higher walker than those who used the lower walker (p<.0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VIC of the latissimus dorsi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and gait velocity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MVIC of dominant latissimus dorsi was also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ho used the higher walker than those who used the lower walker (p<.05) and in those who used the faster gait velocity than those who used the slower gait velocity (p<.05).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EI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and gait velocity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EE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ose who used higher and lower walkers compared with the standard walker. The EEI was also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ose who used the fast gait velocity than those who used the slower gait velocity (p<.05). It has been concluded that increased muscle activation in triceps and latissimus dorsi was required when the walker height increased and that more energy was expended when the gait velocity increased. Therefore,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walker heigh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gait training and that healthy subjects conserve energy when ambulating with standard walkers in a comfortable gait veloc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흉곽출구증후군: 사각근 신장운동의 효과
- 보행기 사용 시 보행기의 높이가 주관절 신전근 활성도와 에너지소모지수에 미치는 영향
- 전침 자극과 전기 자극의 적용이 근육압좌손상이 유발된 흰쥐의 골격근 내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서 하지 근력강화운동이 상지 연합반응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근육 사경 환아에 대한 운동 발달적 치료 접근: 증례보고
- 고관절 신전속도가 슬괵근에 대한 대둔근의 상대적 근수축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
- 척수손상 환자의 보행능력 검사를 위한 평가도구의 비교: MBI, FIM, SCIM Ⅱ, WISCI, 보행속도, 보행지구력
- 정상인의 내림 경사로 보행 시 경사각에 따른 하지 관절의 삼차원적 동작 분석
- 집단 운동치료가 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및 균형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성요통환자와 정상인의 체간 운동시 요추 신전근의 근활성도와 관절운동범위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목차
- 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 로봇 보조 재활 훈련을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과 버그균형척도의 상관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