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침 자극과 전기 자극의 적용이 근육압좌손상이 유발된 흰쥐의 골격근 내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
- 영문명
-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and Electrical Stimulation on VEGF Expression After Muscle Crush Injury in Rat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민희(Min-hee Kim) 이현민(Hyun-min Lee) 박은세(Eun-se Park) 남기원(Ki-won Nam) 김진상(Jin-sa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3권 제2호, 9~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keletal muscle injury occurs frequently in sports medicine and is the most general form of injury followed by physical impact. There are growth factors which conduct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synthesis of myogenic prodromal cells and regulate vascular generation for the continued survival of myocyt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EA) and electrical stimulation (ES) on muscle recovery processes according to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xpression. Eighteen Sprague-Dawley rats were separated into 2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led group. All animals had suffered from crush damage in the extensor digitorum longus for 30 seconds and were killed 1, 3, and 7 days after injury. 30 ㎐ and 1 ㎃ impulsion for 15 minutes was applied to the EA experimental groups Zusanli (ST36) and Taichong (LR3) using electroacupuncture and the same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ES group using an electrical node. Hematoxyline-Eosin staining and VEGF immunohistochemistry were used to ascertain the resulting muscle recovery. There were few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A and ES groups, and both groups were observed to have tendencies to decrease atrophy as time passed. In the controlled group, gradually diminishing atrophy could be observed, but their forms were mostly disheveled.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VEGF expression between the EA and ES groups, and tendencies to have an increased quantity of VEGF with the lapse of time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In the controlled group, a little VEGF expression could be observed merely 7 days after injury. In conclusion, EA and ES contributed to muscle recovery processes and c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muscle injur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흉곽출구증후군: 사각근 신장운동의 효과
- 보행기 사용 시 보행기의 높이가 주관절 신전근 활성도와 에너지소모지수에 미치는 영향
- 전침 자극과 전기 자극의 적용이 근육압좌손상이 유발된 흰쥐의 골격근 내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서 하지 근력강화운동이 상지 연합반응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근육 사경 환아에 대한 운동 발달적 치료 접근: 증례보고
- 고관절 신전속도가 슬괵근에 대한 대둔근의 상대적 근수축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
- 척수손상 환자의 보행능력 검사를 위한 평가도구의 비교: MBI, FIM, SCIM Ⅱ, WISCI, 보행속도, 보행지구력
- 정상인의 내림 경사로 보행 시 경사각에 따른 하지 관절의 삼차원적 동작 분석
- 집단 운동치료가 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및 균형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성요통환자와 정상인의 체간 운동시 요추 신전근의 근활성도와 관절운동범위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목차
- 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 로봇 보조 재활 훈련을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과 버그균형척도의 상관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