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INA 모형에 의한 인지요소숙달 추정 방법간 비교 및 초등학생의 인지요소숙달 변화

이용수 384

영문명
A Comparison of Skill Mastery Estimation Methods for DINA and Changes of Skill Masteries of Elementary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반재천(Jae-Chun Ban) 김선(Sun Kim)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5권 제4호, 721~74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의 성취도를 연중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인지요소숙달 추정을 위한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AP(maximum a posteriori), EAP(expected a posteriori) 방법간 인지요소 숙달의 분류일관성 정도를 알아보고, 둘째, 수학과에서 도출된 인지요소(attributes)의 숙달 비율이 연중 어느 정도 변화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해 먼저 4개의 검사(가, 나, 다, 라 형)를 동일한 검사계획표에 따라 개발하고, 약 500명 내외의 4개 무선 집단에 4개의 검사형을 시행했다. 이렇게 해서 구해진 4개 검사형의 문항모수는 동일한 척도에 있도록 했다. 다음으로 125명의 학생들에게 연중 4회에 걸쳐 가, 나, 다, 라형을 차례로 시행했다. 4회 시행된 응시생의 문항반응 자료와 4개 무선집단에서 구한 문항모수를 이용하여 인지요소숙달 여부를 세 가지 방법으로 추정했다. 연구결과 인지요소숙달 추정 방법간 일치도 평균은 .68로 높지 않았다. MAP와 EAP간 분류일치도(.90)가 가장 높았고, MLE와 EAP간 분류일치도(.68)가 가장 낮았다. EAP를 사용하되 MLE나 EAP방법도 함께 추정하여 결과를 비교 검토할 것을 권장했다. 응시생들의 인지요소 숙달 평균은 전체적으로 증가하지만 인지요소별로 변화 패턴에 있어 차별성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Firs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ies among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maximum a posteriori (MAP), expected a posteriori (EAP) using the DINA model. Second,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proportions of skill masteries in attributes at Mathematics were changed during the school year of grade 5. We developed four forms as similar as possible and administered to four randomly equivalent groups, each group having about 500 examinees. The item parameters were estimated with the DINA model separately for each form and on the same scale. A total 125 Grade 5 examinees took the four forms sequentially during their school year. There were 6 attributes. With the item parameters obtained the random groups and the item responses of 125 examinees, skill patterns of the 125 examinees were estimated with the MLE, MAP, and EAP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ercent of exact agreements among MLE, MAP, and EAP methods across times and methods were .684, which was somewhat low. However, the exact agreement between MAP and EAP tended to produce higher results (.90) than any other combinations of the methods. The MLE and EAP methods produced the worst agreement (.68). The proportions of skill masteries were increased as times go on, but the growth patterns in the attributes were different by the 6 attribut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재천(Jae-Chun Ban),김선(Sun Kim). (2012).DINA 모형에 의한 인지요소숙달 추정 방법간 비교 및 초등학생의 인지요소숙달 변화. 교육평가연구, 25 (4), 721-744

MLA

반재천(Jae-Chun Ban),김선(Sun Kim). "DINA 모형에 의한 인지요소숙달 추정 방법간 비교 및 초등학생의 인지요소숙달 변화." 교육평가연구, 25.4(2012): 721-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