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구 진천천 일대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과정

이용수 475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s in the Daegu Jincheon stream locality from the Bronze Ag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柳志煥(Ryu, Jihwa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8호, 23~5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대구 진천천 일대에서 확인된 취락과 무덤군의 변천과정을 함께 다루어 이 일대의 공간 활용 변화와 취락 변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진천천 일대를 크게 3기로 나누면 Ⅰ기에는 구역별로 취락이 분산적으로 배치되고 가시적 구조를 지닌 무덤이 확인되지 않는다. Ⅱ기에는 주거지의 결집현상이 확인되고 구역별 주거지의 밀집도가 높아지며, 무덤은 이른 시기에는 단독묘로 조성되지만 이후 단독묘 주변으로 근접 혹은 연접 배치되는 무덤들이 등장하면서 소군집 단위의 무덤군을 형성한다. Ⅱ기의 특징은 무덤·주거지의 단위화라 할 수 있으며 공동거주형 주거방식과 친연관계를 반영한다고 생각되는 소군집 무덤군의 존재로 볼 때 세대공동체가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Ⅲ기는 Ⅱ기에 보인 단위화가 붕괴되는 현상이 관찰되고 주거지·무덤이 특정구역으로 집중된다. 이는 취락 내에서 공간의 기능분화가 일어난 것을 의미하며, 독립세대를 단위로 하는 주거형태가 등장하고 주거지와 무덤이 단위를 이루지 않고 분산 배치되는 것은 세대공동체의 결속력이 이전에 비해 약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격적인 정주취락이 형성되는 초기(Ⅱ기)에는 여러 집단이 한정된 공간에 모여 살게 된 결과 생산과 소비를 공동으로 행하는 세대공동체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여타 집단과의 사이에 경쟁이 발생하지만, 일정 정도의 시간이 흐른 뒤에는 여타집단에 대한 경계심이 느슨해지고 집단 간 경쟁의 필요성이 감소되었을 것이다. Ⅲ기에 이르러 Ⅱ기에 비해 개개 무덤에 투여되는 노동력이 감소되고, 진천동 입석 같은 취락 공동 의례시설이 등장하는 것은 이와 연관 지을 수 있다. 따라서 진천천 일대 청동기시대 취락의 변천과정은 의례·무덤·주거·생산구역 등의 기능적 공간분리가 심화되는 과정으로 이러한 현상은 세대공동체 단위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에서 취락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nsition of settlements and tombs together and examined the changes in spatial utilization and its meaning of settlements' transition. The study divided the transition phase of Jincheon stream locality into 3 phases. In the phase of I, the settlements were distributed by section, and there was no tomb with visual structure which we can easily recognize. In the II phase, the dwelling's integration state was identified and its concentration level of dwelling by section was higher. In this phase, main type of tombs were individual tomb type. But in later period, as the tombs located closely or connected to the individual ones or connected were appeared, small units of burial clusters were formed. Lik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I phase can be expressed as making units of tombs & dwelling. At considering that the joint-residence type dwelling and the small units of burial blusters reflect the kinship, it is thought that a household community might be the basic unit consisting the society at that time. In the phase of III, it is observed that making unit was collapsed and dwelling & tombs were concentrated on some certain areas. This means that the functional division in terms of settlement space happened. The appearance of dwelling type with independent household and the distributed arrangement of tombs, not previous unit combining the dwelling and tombs can mean that household community's bond became weaker than previous. In other words, in the early period(the phase of II) when authentic fixed settlement began to be formed, several groups came to live in some limited space. As the result of that, the role of household community producing and consuming jointly was emphasized. Then some competition was created among groups. But as certain amount of time passed, the wariness against other groups might get weaker and the necessity of competition among groups might also be reduced. Reaching at the phase of III, the labor size given to individual tomb was reduced compared that in the phase of II, and some common ritual facilities like the menhir in Jincheon-dong was appeared in a settlement. These can be related to above changes. In conclusion, the transition of settlements around the Jincehon-cheon(stream) in the Bronze Age is considered as the process intensifying the division phenomenon of functional spaces into the ritual section, the tomb section, the dwelling section and the production section. It is thought that the spatial division phenomenon reflected the change process of society type from the household-community unit to the rural settlement-centering society.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진천천 일대 청동기시대 유적분포현황과 구역설정
Ⅲ. 진천천 일대 주거지 및 무덤의 변천과 분기
Ⅳ. 진천천 일대 취락의 전개과정
Ⅴ. 진천천 일대 취락의 전개과정에 대한 해석의 일례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柳志煥(Ryu, Jihwan). (2012).대구 진천천 일대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보, (78), 23-52

MLA

柳志煥(Ryu, Jihwan). "대구 진천천 일대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보, .78(2012): 2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