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우구스티누스의 ‘조명(illuminatio)’에 대하여

이용수 367

영문명
A study of the “illuminatio” of St. Augustine : focused on the concept of “lux” presented in 「De Trinitate」 12,15,24 “videat in quadam luce sui generis incorporea”
발행기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저자명
정승익(Jung Sengik)
간행물 정보
『누리와 말씀』제31호, 109~14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우구스티누스는 ‘태양빛-달빛’의 비유를 통해 자신의 인식론을 전개했다. 그런데 그가 사용한 비유의 빛에 대한 대목은 너무도 다양하게 해석되어 질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많은 논란이 발생했다. 빛에 대한 해석은 일반적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전통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진다. 즉 인식을 가능케 하는 조건인 빛의 개념을 선험적인 앎의 내용으로 파악할 것인가 아니면 경험을 통해 얻어진 지식들로부터 보편개념을 추상화 해내는 인간의 능동이성으로 볼 것인가 하는 차이가 발생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감각경험이 지니는 고유한 가치들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인정을 하였지만, 인간의 진리인식에는 그다지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지 않았기 때문에 별다른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것은 진리는 변화하는 외부사물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내면 안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리를 향한 탐구는 인간영혼 내면으로 환원되어야 한다. 이로써 정신은 내면 안에 존재하는 진리에 따라 인식하고 판단하게 된다. 이는 플라톤이 말한 것처럼, 이미 알고 있는 선험적이고 내재적인 앎을 ‘회상’하는 그러한 방식으로의 인식은 아니다. 마치 태양빛을 받아 달빛이 반사해 내듯이, 인간정신은 진리자체이신 하느님의 비추임으로 반사되어진 빛만을 바라 볼 뿐이다. 즉 인간은 초월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소유한 것이 아니라, 단지 그 진리자체를 통해 얻어지고 반사되어진 빛(부분적인 앎)만을 갖고 있을 뿐이다. 또한 태양빛이 언제나 비추어 주어야 인간의 바라봄이 성립하듯이, 인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현재적인’ 조명이 필요하다. 인간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다. 이는 인간도 삼위일체 하느님처럼 무언가 삼중적인 존재방식을 가져야 함을 일컫는 말이다. 그 삼중구조는 ‘esse-nosse-velle’이다. 즉 인간은 자신의 의식현상 안에서, ‘생각하는 내가’ 생각의 대상처럼 또 다른 나를, ‘생각의 대상이 되는 나’를 바라본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의지의 작용으로서의 나’도 존재하는데, 이들 모두는 각기 구분되어지지만 동시에 하나의 나를 이룬다. 이렇듯 인간의식현상 안에서도 내 자신이 나를 대상화하여 바라보기 위해서는 태양빛과도 같은 조명이 필요한데, 그 빛은 삼중적인 구조를 모상으로 갖게 만든 삼위일체 하느님이다: 우선 모든 인식이 가능케 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모든 만물이 존재해야 하는데, 모든 만물의 존재 근거인 존재 자체이신 성부하느님, 세상 모든 법칙들의 종합인 진리자체 로고스 성자하느님, 조명을 가능케 하는 하느님 의지로서의 사랑자체인 성령하느님인 삼위의 하느님의 조명으로 인간은 자신을 대상화하여 바라본다. 인간정신은 하느님의 조명에 의해서 자신과 세상의 법칙들을 바라보며 인식한다. 그런데 그 앎은 부분적이고 불완전하다. 인간의 인식은 구원의 날에 완성될 것이며, 하느님의 모상대로 하느님처럼 변화하게 될 그날, 조명의 빛은 인간정신 안에서 완전하게 인간에게 비추어지고 반사되어질 것이다.

영문 초록

Augustine explained his theory of the illumination through the analogy ‘the light of the sun - the light of the moon’. But his analogy about the light for the concept of the illumination caused lots of the confusion with the various interpretation. Genera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light has two different opinion according to the platonism and the aristotelianism; the question is what is the meaning of the light? Is it a priori and universal concept or the ‘abstractio’ of the active ration? Augustine neglected the experience of the sense for the perception of the truth even though he accept the value of the exterior experience through the body. Because he considered that it is not important for the intelligible world. He thought that the truth doesn't exist in the external world but in the inner world of the human soul, and so the researching of the truth must head to the interior of the soul. The human soul perceive and judge on the basis of the truth in the inner part. But this is not equal to the platonic theory, that is, the cognition is accomplished by the ‘remembrance’ of a priori and immanent knowledge. According to the saint, the soul see the light illuminated by the truth itself that is God as if the moon reflect the light of the sun. The man doesn't have any universal truth but some knowledge reflected by the truth itself. And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have the ‘permanent and present’ illumination for the cognition as if it is necessary the light of the sun for the vision. The human soul has the three dimensional aspects similar to God Trinity, because the human soul was created by the image of God: ‘esse-nosse-velle’. In the phenomenon of the consciousness, we have the three elements: ‘ego cogitans’, ‘ego cogitatus’ and ‘voluntas cogitantis’. They are different each other but they are an ‘ego’. It is necessary to have the illumination in order to see ‘ego cogitatus’ in the inner world of the soul, and the light itself is God Trinity who created the man according to the image of himself who has three persons: the Holy Father as ‘Esse ipsum’ from which all the creatures has own ‘esse’, the Holy Son as ‘Logos’ that is the ‘Principium’ and the ‘Regula’ of all the universe through which all the beings have own ‘essence’, and the Holy Spirit as the ‘Voluntas Dei’ by which the illumination can be begun and accomplished. Therefore the human soul can see himself and the rule of the universe by God's illumination. But the illumination is partial and imperfect in present time. The recognition will be perfect when the day of salvation come, and the light of illumination will be perfect in the human soul when the day of the deification come to us.

목차

들어가는 말
Ⅰ.‘빛’에 관한 여러 해석들(조명설의 네 가지 이론들)
Ⅱ. 플라톤의 비유를 통한 조명에 대한 설명
Ⅲ. 감각적 인식의 한계와 진리인식 → 내면화(homo interior)
Ⅳ. 인간정신과 빛의 구분
Ⅴ. 조명에 대한 ‘심리학적 삼위일체론적’ 접근
Ⅵ. 조명의 완전한 단계 = 하느님과의 관계 안에서 인간이 지니는 유사함(similitudo)의 완성
나가는 말
참고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승익(Jung Sengik). (2012).아우구스티누스의 ‘조명(illuminatio)’에 대하여. 누리와 말씀, (31), 109-149

MLA

정승익(Jung Sengik). "아우구스티누스의 ‘조명(illuminatio)’에 대하여." 누리와 말씀, .31(2012): 109-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