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2~24개월 구개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음운발달

이용수 1775

영문명
Phonological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cleft palate and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aged 12-24 month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문희원(Heewon Moon)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1호, 118~129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구개열 아동들은 선천적인 구강 구조의 결함으로 인해 발달 초기부터 일반 아동들과는 다른 말-언어 발달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음운영역에서의 두드러진 어려움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는 실제 발화 자료에 기초하여 구개열 유아들의 음운발달을 자세히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발화 샘플을 바탕으로 일반 유아들과 비교하여 구개열 유아들의 초기 음운 발달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생후 12∼24개월의 구개열유아 14명과 일반 유아 14명으로 총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자가 각 유아의 가정에 방문하여 주양육자와 검사자와의 자유놀이를 유도하여 실제 발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사 자료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총 발화수, 음절 구조 유형, 자음목록수, 조음 위치 및 방법별 자음 산출빈도와 산출율을 분석하여 음운발달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총 발화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구개열 유아들이 더 적은 발화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일반유아와 비교하여 구개열 유아들이 CV형과 CVC형을 유의미하게 적게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음목록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반 유아들이 평균 6~7개의 자음을 사용하는 반면, 구개열 유아들은 평균 2~3개의 자음을 사용하며 제한된 자음목록을 보였다. 넷째, 구개열 유아들은 조음 위치측면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치조음, 경구개음 산출율과 높은 성문음 산출율을 보이며, 후방음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음 방법측면에서는 유의미하게 낮은 파열음, 파찰음 산출율과 높은 성문마찰음 산출율을 보였다. 또한 발성유형 측면에서는 평음과 경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는 구개열 유아들은 일반 유아에 비해 단순한 음절구조를 선호하고 비음과 성문마찰음만을 포함한 제한된 자음목록수를 보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12~24개월 구개열 유아들의 실제 발화 자료를 통해 초기 음운발달을 자세히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고, 구개열 유아들의 초기 평가와 음운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oddlers with cleft palate are likely to show different speech-language development from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starting in the early development stage due to their congenital anomalies of the oral mechanism.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limited phonologic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but there is no study dealing with phonological development of toddlers with cleft palate based on spontaneous utterance samples in Korea.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early phonological development of toddlers with cleft palate through spontaneous utteranc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sonant system and compares this with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of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Methods: Fourteen toddlers with cleft palate and 14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were involved in the research, and the children interacted with the researcher and their primary caregiver in their home. Based on language samples from a 30-minute interaction, the following were analyzed: (1) total number of utterances, (2) types of syllable structure, (3) number of phonetic inventories, (4) frequency and ratio of consonants based on place of articulation, and (5) frequency and ratio of consonants based on manner of articulation.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number of utterances, although toddlers with cleft palate tended to use fewer utterances than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Toddlers with cleft palate showed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of CV and CVC typ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honetic inventories was observed. While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produced approximately 6 to 7 consonants on average, toddlers with cleft palate produced an average of approximately 2 to 3 consonants. Toddlers with cleft palate used significantly less alveolar and palatal sounds and more glottal sounds than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which indicated that they prefer the posterior sounds. Toddlers with cleft palate produced significantly less plosive, affricative sounds and more glottal fricatives compared to the toddlers in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d they have difficulty using pressure consonants. Additionally, the toddlers with cleft palate produced less fortis and lax consonants than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you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tend to prefer simple syllable structure and show limited consonant inventory including only nasal and glottal fricative consonan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arly phonological development of toddlers with cleft palate based on spontaneous utteranc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s.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early speech-language evaluation and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which facilitate early phonologic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ar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희원(Heewon Moon),하승희(Seunghee Ha). (2012).12~24개월 구개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음운발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 (1), 118-129

MLA

문희원(Heewon Moon),하승희(Seunghee Ha). "12~24개월 구개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음운발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1(2012): 118-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